소비자원, 35종 마스크 조사 “방한용에도 ‘황사마스크’ 광고”

중앙일보

입력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마스크를 쓰고 근무하는 경찰들. [연합뉴스]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마스크를 쓰고 근무하는 경찰들. [연합뉴스]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다고 광고한 마스크가 실제로는 차단 효과가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한국소비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유의동 의원과 공동으로 시중에 판매하는 마스크의 황사·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제품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조사한 제품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황사나 미세먼지 등의 차단 효과를 표시·광고한 마스크 35개 제품이다. 이 중 20개는 의약외품, 10개는 방한용 마스크, 5개는 일회용 마스크 등 기타 마스크다.

조사 결과 ‘보건용 마스크(KF94)’ 20개 제품의 분진포집효율은 95∼99%(평균 98%)로 기준(94% 이상)에 적합했다. 분진포집효율은 공기를 들이마실 때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을 말한다.

하지만 ‘방한대’ 및 ‘기타 마스크’ 15개 중에서는 분진 포집 효율이 최소 기준(80% 이상)에 적합한 제품은 1개 제품(88~90%)에 불과했다. 나머지 14개 제품은 8∼79%로 평균 40% 수준을 보였다.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포장에 '의약외품'이라고 쓰여 있거나 ‘KF(Korea Filter)' 수치가 기재된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현행법상으로도 분진 포집 효율이 일정 기준 이상인 마스크만 의약외품(보건용 마스크)으로 허가받을 수 있고 허가받은 제품만 황사·미세먼지·호흡기 감염원 등의 차단 효과를 표시·광고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제품들은 '미세먼지 황사 마스크', '미세먼지 및 각종 오염 병균을 막아주는' 등 소비자들이 ‘보건용 마스크’로 오인할 수 있는 문구를 표시·광고하고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제품 표시사항 및 표시·광고 개선을 권고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마스크를 구입할 때 황사, 미세먼지, 호흡기 감염원 등의 차단이 목적일 경우 ‘의약외품’ 문구 및 ‘KF+수치’를 확인하고 구입해야 효과가 있다"며 "본인에게 적합한 크기의 제품을 선택하고 사용 시 제품에 기재된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은희 기자 jang.eunhe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