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해서 바다에 버린다더니…후쿠시마 오염수 80%가 기준치 초과

중앙일보

입력

“안전하기 때문에 바다에 방출해도 문제가 없다”던 후쿠시마(福島) 제1 원전 오염수의 처리 문제가 일본 사회에서 또 도마에 오르고 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 의해 폭발 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 제1원전의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지난 28일 “이미 정화를 끝내고 원전 부지 내 탱크에 보관 중이던 오염수 총 89만t 중 75만t에서 삼중수소 이외에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물질이 측정됐다”고 실토했기 때문이다.

일본 후쿠시만 원전앞 바다.[중앙포토]

일본 후쿠시만 원전앞 바다.[중앙포토]

다핵종 제거장치(ALPS)로 정화한 오염수 94만t 중 89만t을 분석해보니 80%에 해당하는 오염수가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것이다. 애초부터 "성질상 수소와 같기 때문에 물에서 분리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던 삼중수소를 뺀 나머지 방사성 물질을 측정한 수치다.
일부 탱크에선 스트론튬90이 기준치의 2만배에 해당하는 리터(L)당 60만 베크렐이나 측정됐다. 스트론튬90은 사람의 뼈에 쌓이기 쉬운 방사성 물질로, 특정 방사성 물질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하는 반감기가 29년이나 된다. 그동안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 내 경제산업성은 “ALPS로 오염수를 처리하면 삼중수소를 제외한 62종류의 방사성 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이번 발표 결과는 이런 기존 주장을 사실상 뒤집은 것이다.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 물질이 측정된 데 대해 도쿄전력은 “2013년 ALPS가 고장을 일으켰을 때 고농도의 오염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섞였을 가능성이 있고,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흡착재 교환이 늦어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후쿠시만 원전앞 바다.[중앙포토]

일본 후쿠시만 원전앞 바다.[중앙포토]

그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정화한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놓고 고민해 왔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 안에는 오염수를 보관하는 탱크가 들어설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020년엔 탱크 증설이 아예 불가능해진다.
지난 2016년 경제산업성 내 관련 테스크포스는 기준치 이하 오염수의 처리 방안으로 ▶해양방출 ▶증발처리 뒤 방출 ▶전기분해 뒤 방출 ▶지하 매설 ▶지층 주입 등 5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이중 바다에 방출하는 방안을 가장 유력하게 검토해왔다.
지난 8월 말엔 정부 내 전문가위원회가 "현장 주민들의 의견을 듣겠다"며 공청회까지 열었지만, 당시에도 참석자 대부분이 “삼중수소 외에도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고 있다”며 해양 방류에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