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아베, 유엔 연설서 “김정은과 마주 볼 용의 있다”

중앙일보

입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5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 가능성을 언급하며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3회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납치, 핵‧미사일 문제의 해결을 위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국교 정상화를 지향하는 일본의 방침은 변함이 없다”며 “북한이 가진 잠재력이 발휘되도록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납치 문제의 해결을 위해 나도 북한과의 상호불신의 껍데기를 깨고 새로운 시작을 하겠다”며 “김 위원장과 직접 마주 볼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해 아베 총리가 유엔 총회에서 전체 연설 분량의 80%가량을 할애하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강하게 비난하고 국제 사회에 대한 대북 압력 강화를 호소했던 것과는 상당히 달라진 태도다. 이번 연설에서는 북한 관련 내용이 전체 분량의 10%가량으로 줄었을 뿐만 아니라 ‘압력’이라는 표현도 사용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의 한일정상회담에서도 북일 관계 개선을 추진하려 한다면서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적절한 시기에 일본과 대화하고 관계 개선을 모색할 용의를 밝혔다고 전달했고, 아베 총리는 “김 위원장과 직접 마주 볼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미국의 일본에 대한 통상 압박을 염두에 둔 듯 자유 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일본은 무엇보다도 미국과의 무역 협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윈-윈’의 관계를 계속하고 싶다”며 일본의 대미 투자에 따른 직접 고용자 수와 일본 자동차 제조사의 미국 내 자동차 생산 대수를 열거했다. 그러면서 “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인도양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경제 규칙을 넓히는 일을 일본이 주도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