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비기자 횡포 극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언론자율화를 틈탄 사이비기자의 횡포가 극성을 부려 지방은 물론 서울의 곳곳에서 피해자가 잇따르고있다.
기업체나 관공서의 약점을 갑아 『기사를 쓰겠다』며 돈을 뜯어내거나 광고게재·신문구독을 강요하는 수법으로, 심지어는 이들끼리 단체를 만들어 집단흥정이나 릴레이식 갈취수법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최근 자율화에 따라 정기간행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들 회사가 신분증을 만들어 돈을 받고 팔고 본사에 매월 일정액을 납부토록 하는 일이 있어 더욱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일부지방에서는 이들 사이비기자들이 「보도기자 클럽」이라는 아크릴 명패까지 달고 떼지어 다니면서 행패를 부리고 있다.
이들 사이비 공갈기자들은 ▲기업체·관공서의 약점을 이용한 갈취 ▲광고신탁 강요 후 광고료착복 ▲신문 보내기 운동 빙자 금품갈취 ▲일방적으로 광고게재후 광고료 강제징수 등 수법을 쓰고있다.
서울의 중앙부처에도 각종 신문기자들이 몰려 일부 부처기자실은 「한 학급」을 이룰 정도로 북적거리고있다.
부산지검 특수부는 24일 주간 「보건법률신문」 부산주재 기자 조재원씨(30)와 「건설환경신문」 기자 안영식씨(31) 등 7명을 공갈혐의로 구속하고 달아난 주간「법사신문」부산취재부장 정만정씨(52) 등 6명을 수배했다.
이들은 식품·고물상 등을 찾아 폐수시설을 눈감아 주겠다고 협박, 모두 10차례에 걸쳐 5백20만원을 뜯어낸 혐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