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과열 속 8월 가계대출 6조6000억원 늘어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월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중앙포토]

지난 1월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중앙포토]

 부동산 시장 과열 속에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확대됐다.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휴가철ㆍ주담대 풍선 효과로 #기타대출 3조7000억원 늘어 #주담대는 은행 3조4000억 ↑ #제2금융권은 6000억원 줄어 #

 금융위원회가 12일 발표한 ‘2018년 8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6000억원 늘어났다.

 전달(5조6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늘었다. 지난해 같은 달(8조8000억원)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다. 지난달 전금융권 기타대출은 지난달 3조7000억원 늘어났다.

 은행권(2조5000억원)과 제2금융권(1조2000억원)을 포함한 수치다. 전달(2조8000억원)보다 증가 규모가 커졌다.

 특히 신용대출이 많이 늘었다. 지난달 은행권 신용대출은 1조9000억원 늘어났다.

 금융위는 “여름 휴가철 자금 수요 등이 늘어나며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휴가철에 따른 계절적 요인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따른 대출 수요가 신용대출로 옮겨간 ‘풍선 효과’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주택담보대출은 은행권과 제2금융권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3조4000억원 늘었다. 전달(3조1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커졌다. 반면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6000억원 줄면서 전달(-3000억원)보다 감소폭을 키웠다.

 한국은행은 “주택거래가 늘어난 데다 신규 입주 물량 확대에 따른 전세자금대출이 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7000호로 전달에 비해 1000호 늘었다. 전세값 상승에 따른 전세자금대출액 증가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은행권 기업대출은 5조1000억원 늘어나며 전달(5조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줄었다.

 대기업 대출(1000억원) 규모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5조 늘어나며 전달(3조5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자영업자 위주로 이뤄지는 개인사업자 대출은 지난달 2조5000억원 늘어났다.

 금융위는 “1~8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45조7000억원)는 2015~17년 같은 기간 증가 규모로는 최저 수준”이라며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