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볼턴, 北 문제만 트럼프와 엇박자…비핵화 시각 두고 이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앙포토]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앙포토]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안보정책 전반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지만, 북한 문제에 대해서 만큼은 엇박자를 내고 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11일(현지시간) NYT는 볼턴 보좌관이 10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워싱턴 사무소 폐쇄 방침을 발표하고 국제형사재판소(ICC)에 대한 제재를 경고한 디 대해 볼턴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미 우선주의’에 ‘살을 붙였다’고 전했다.

하지만 “볼턴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 프로젝트 중 하나인 북한과의 핵 외교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했다”고 NYT는 덧붙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하는 친서를 트럼프 대통령에 보낸 것에 대해 백악관이 환영 의사를 표명했지만, 정작 볼턴 보좌관은 비핵화 약속 이행을 시작하지 않은 데 대해 좌절감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앞서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친서에 대해 “매우 따뜻하고 긍정적인 편지”라고 평가했다.

반면 볼턴 보좌관은 “비핵화 조치에 나서야 하는 것은 그들(북한)이고 우리가 기다리는 것도 바로 그것”이라며 북한의 이행 노력에 방점을 찍었다.

또 북한이 지난 9일 정권수립 70주년(9·9절)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등장시키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도 백악관은 고무적 신호라고 평가했지만, 볼턴 보좌관은 북한에 점수를 주는 대신 김 위원장이 1년 안에 핵을 포기하기로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NYT는 다만 볼턴 보좌관은 북핵과 관련해 ‘리비아식 해법’을 언급, 북한이 크게 반발한 이후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