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北김정은 의도, 대미 개방 아닌 韓자본투자 유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본격적 외교 무대에 나선 것은 미국 자본시장 개방이 아닌 대북제재 중단과 남한의 대북 인프라 투자 유도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에릭 탈매지 AP통신 평양지국장은 3일 북한의 신규 관광 개발 후보지로 꼽히는 칠보산발 기사에서 김 위원장이 북한의 새 경제발전 전략을 위해 중국과 한국, 미국과의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의 경제 발전은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측에 제안한 일종의 당근책이었다.

회담 보름여 전 뉴욕을 방문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에 폼페이오 장관이 뉴욕 경관을 보여주며 ‘더 밝은 미래’를 언급한 것도 이 같은 취지다.

하지만 정작, 김 위원장이 외교적 접근법을 구사하기 시작한 것은 미국 자본에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아니라는 게 탈매지 지국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위원장의 본 목적은 대북제재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 기반을 무너뜨리고, 미국의 제재를 멈추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또 탈매지 지국장은 김 위원장이 도로, 철도 등 인프라 구축과 일부 지역의 관광특구 개발 등을 위해 남측의 대북 투자를 구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장기적 목표는 한국 시장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과거 금강산 관광과 같은 한국인들의 북한 관광이 북한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