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부 시책발표 "국정감사용" 빈축|올림픽 메달리스트 연금·격려금 지나친 후대 비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일본은 장려금만 지급>
○…일본 레슬링협회는 18일 서울올림픽 자유형 48kg급 금메달리스트인 「고바야시」 (소림효지·25)와 52kg급 「사토」(좌등만·26) 선수에게 각각 1백만 엔의 장려금을 지급키로 결정했다.
일본레슬링협회는 84년 LA올림픽이후 서울올림픽을 목표로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의 경우는 1백만 엔씩 지급하고 ▲아시아대회 금메달은 50만엔, 담당코치의 경우는 각 선수 몫의 절반을 지급하는 장려금제도를 신설했다.
1백만 엔의 장려금을 받는 선수는 이번이 처음인데 일본 레슬링협회는 오는 92년 바르셀로나 대회 우승자에게도 같은 액수의 장려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에 비해 일본보다 경제적으로 엄청나게 뒤지는 한국은 서울 올림픽메달리스트들에게 지나친 후대를 하고 있다는 비판의 소리가 국내 체육계에서 일고 있다. 각 경기단체는 금메달리스트의 경우 국민체육진흥재단으로부터 매달 최소한 60만원씩의 연금을 받는데도 별도로 2천만∼3천만 원씩의 포상금을 지급한바 있다.

<박 위원장 유종의 미 당부>
○…박세직 SLOOC위원장은 17일 『서울올림픽의 마무리를 훌륭히 끝내자』고 강조, 자신의 완벽주의(?)를 또 한번 과시.
서울올림픽의 강행군으로 지난주 줄곧 집에서 몸져누워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 박 위원장은 이날부터 다시 집무를 시작하면서 간부회의를 소집, 아직까지 서울올림픽이 끝나지 않았음을 상기시키고 공식기록 외에도 각 경기장 및 행사장의 미담·에피소드 등 숨은 얘기 등을 모아 기록으로 남길 것을 지시.
박 위원장은 간부들에게 『직원들의 취업문제는 책임지고 해결하겠으니 직원들이 장애자올림픽과 올림픽대회 마무리에 전력을 쏟아줄 것』을 당부.

<앞뒤 안 맞는 성급한 정책>
○…체육부는 서울올림픽직후 내년부터 체육정책을 2원화, 사회체육과 엘리트체육을 균형 있게 육성시키는 등의 거창한 시책을 발표한바 있다.
특히 엘리트체육은 각 경기단체에 맡기고 대한체육회는 사회체육에 전념토록 한다는 시책을 일방적으로 결정, 밝혔었다. 그러나 대한체육회는 이 같은 발표가 있은 후 보름도 안 돼 90년 북경아시안게임에 대비, 6백일 강화훈련을 오는 11월 21일부터 시작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체육회는 오는 20일 께 각 경기단체에 대표팀을 재정비하라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따라서 올림픽 직후 체육부의 성급한 체육정책발표는 국정감사용이거나 대외홍보용이 라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