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정도 주둔…비용은 한국 부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15일 이라크에 파병할 경우 유엔 다국적군이라면 비용은 우리 정부가 부담할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파병 요청 과정은.

"지난 3일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부차관보, 크리스토퍼 라플레어 국무부 부차관보, 토머스 허버드 주한 미대사 등 세 명이 청와대를 방문해 이라크 파병을 공식 요청했다. 미측은 파병 결정이 우리의 주권적 판단임을 거듭 강조했다. 인도.터키.파키스탄 등 10여개 국가에 동시 요청했다. 독자적인 작전수행 능력을 가진 경보병(Light Infantry)부대를 요청했다."

-파병 규모는.

"구체적 언급은 없었으나 폴란드 사단을 예시했다. 사단 규모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사단사령부에 통신.수송.행정 부대 및 여단으로 구성된다. 파병 규모는 미국이 적시할 사안이 아니며 아직 검토되지 않았다."

-미국이 월남전 때처럼 주한 미2사단 전진 배치로 압박한다는데.

"그런 소문은 들었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 연관돼 있지 않다."

-파병과 미군 재배치 유보가 상관있나.

"별개 문제다."

-재정 부담은.

"독자적으로 우리가 작전을 수행하게 되면 자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

-언제 최종 결정하나.

"시간은 정해지지 않았다. 미국은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을 희망한다."

-한.미 정상회담 전에 윤곽이 정해지나.

"검토하는 데 참고가 될 것이다."

-주둔케 되면 기간은.

"장기간은 아닌 것으로 안다."

-장기 주둔은 아니라고 했는데. 이라크 민간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1년 정도인가.

"그런 정도다."

-파병시 우리가 얻어내려는 목표는.

"반대급부라는 생각은 말고 (파병) 자체로 국익인지, 국제사회의 위상, 한반도 안보 기여 등을 봐야지 바기닝(bargaining)은 절대 아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