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北 싱가포르 체류비 대납 계획 없어…요구도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 [사진 미국 국무부 웹사이트 갈무리]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 [사진 미국 국무부 웹사이트 갈무리]

미국 국무부가 ‘6‧12 북미정상회담’과 관련 북한 대표단의 싱가포르 호텔 숙박 비용 대납 계획은 없으며, 북한 측에서도 이를 요구한 적이 없다고 명백히 밝혔다.

5일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미국 정부는 대표단의 호텔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있다”며 “우리는 그들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또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북한이 다른 나라들에 비용을 지불해달라고 요청하지는 않았다'고 말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노어트 대변인이 언급한 ‘북한 대표단’은 6‧12 북미정상회담 숙소와 의전, 경호 등을 논의하기 위해 현재 싱가포르에 체류 중인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 등 실무단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머물 것으로 보이는 풀러턴 호텔은 하루 숙박료가 8천 싱가포르 달러(한화 641만원)이다.

수행원 객실까지 포함할 경우 많은 비용이 예상되지만, 일각에서는 과도한 우려라는 지적도 나온다.

국제사회 대북제재 여파로 북한 내 외화가 부족하다고 하지만, 그 정도 액수도 부담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미국 언론 등을 중심으로 이 같은 주장이 나오자 응 엥 헨 싱가포르 국방부 장관은 지난 2일 싱가포르 정부에서 북한 측의 보안과 숙박‧이동 등을 위한 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또 ICAN도 지난 3일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핵무기 금지 및 제거를 위한 노력에 공헌하는 차원에서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호텔비를 지불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