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핵심 측근들 “대북제재, 강하게 가동할 것”

중앙일보

입력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AP=연합뉴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AP=연합뉴스]

 오는 12일 북·미 정상회담의 싱가포르 개최가 확정된 가운데,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대북 제재가) 매우 엄격하고 강하게 가동되고 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폭스뉴스 선데이’와 인터뷰에서 커들로 위원장은 “북한이 어떤 것도 포기하지 않은 채로 경제적 고립에서 탈출하는 게 아니냐”는 진행자 질문에 “시간을 두고 완화될진 모르겠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강경한 태도를 취해왔다. 주변인들이 ‘너무 강하며, 무력 과시다’라고 고함을 취할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만난 뒤 “최대 압박이라는 표현을 거둬들이겠다.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대북 제재는 취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커들로 위원장의 발언(3일)은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마치 제재 완화 움직임처럼 비춰질 수 있다”는 지적에 선을 그은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또 커들로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비핵화의 과정(process)’이란 개념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언급한 ‘일방적이며 즉각적인 비핵화’와 다르다”는 진행자의 지적에 “"이런 협상은 시간이 걸린다. 로마를 하루 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며 “그것(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매우 현실적인 태도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커들로 위원장은 “중요한 것은 우리가 (협상 테이블에) 앉아 있다는 점,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북한 비핵화)와 무역 문제와 관련해 역대 어떤 대통령보다 과감하게 나섰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10월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했던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지난해 10월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했던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한편 같은날(3일)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장관 역시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미·일 국방부장관 회담에 앞서 “북한이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 비핵화 조치를 보여야만 제재를 완화시킬 수 있다. 우리는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관련) 모든 결의를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두 백악관 핵심 관료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선행돼야 제재 완화를 비롯한 보상을 북한에 제공할 수 있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