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출생아수 사상 첫 9만명 하회...전년 대비 9.2% 감소

중앙일보

입력

[통계 작성이래 사상 최저 기록한 출생아수 통계 작성이래 사상 최저 기록한 출생아수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28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수가 1970년대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35만명대를 기록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1.05명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시내 한 산부인과 병원 신생아실. 2018.2.28   hihong@yna.co.kr/2018-02-28 15:20:46/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

[통계 작성이래 사상 최저 기록한 출생아수 통계 작성이래 사상 최저 기록한 출생아수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28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수가 1970년대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35만명대를 기록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1.05명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시내 한 산부인과 병원 신생아실. 2018.2.28 hihong@yna.co.kr/2018-02-28 15:20:46/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

1분기 출생아수가 9만명 아래로 추락했다.

합계출산율도 0.1명 감소한 1.07명 #30대 중후반이 20대 중후반보다 더 많이 출산 #첫 아기 출산 시기도 점점 늦어져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월 출생아 수는 3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200명(9.6%) 감소했다. 올해 1~3월의 출생아수도 8만96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100명(9.2%) 줄어들었다.

200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저치다. 1분기 출생아수가 9만명에 못 미친 것도 처음이다. 지난해 1분기 출생아수가 사상 처음으로 10만명 아래로 떨어진지 1년만에 9만명 벽조차 붕괴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기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도 1.07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1명 감소했다. 연도별 합계출산율은 이미 1.05명(2017년)까지 내려간 상태다. 여성 1000명당 출생아수를 뜻하는 출산율도 30~34세는 101.0명, 25~29세는 46.0명에 그쳤다. 각각 지난해 동기보다 8.7명과  8.5명 감소한 수치다.

 만혼에 따라 35~39세 여성과 25~29세 여성의 출산율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 1분기에 35~39세 여성 출산율은 49.4명으로 25~29세 여성 출산율보다 3.4명 많았다. 첫 아기를 출산한 시기의 평균 결혼 기간은 2.18년이었다. 다시 말해 결혼한지 2.18년만에 첫 아기를 낳는다는 얘기다. 역시 전년 동기 대비 0.29년 늦어졌다.
세종=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