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간 '핵협상 어벤저스'…폼페이오, 비핵화 담판 지었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전격적인 재방북은 두 가지 면에서 극적이다.

폼페이오 외 백악관··국무부 핵심 총출동 #최종 합의문 도출까지 노린 대표단 구성

먼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다롄으로 건너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40여 일 만의 랑데부 정상회담을 연 바로 다음 날 미 국무장관을 평양에서 맞이했다. 그러곤 북한에 억류됐던 3명의 미국인을 풀어줬다. 미국에 맞선 북·중 연합전선이 펼쳐지나 했더니 바로 하루 만의 급반전이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9일 게재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 방문 사진. 김 위원장이 8일 다롄 동쪽 외곽 해변에 있는 방추이다오(棒槌島) 영빈관에서 시 주석과 만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9일 게재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 방문 사진. 김 위원장이 8일 다롄 동쪽 외곽 해변에 있는 방추이다오(棒槌島) 영빈관에서 시 주석과 만나고 있다.

 또 하나는 평양을 찾은 미국 측 인사들의 면면.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1일에 걸친 ‘10시간 평양 출장’에 나섰던 폼페이오 국무장관(당시 CIA국장)은 물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매슈 포틴저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 그리고 국무부 브라이언 훅 정책계획국장과 헤더 나워트 대변인 등이 출동했다.

포틴저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백악관의 한반도 정책을 사실상 진두지휘해 온 핵심 인사다. 훅 국장은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조정하는 공동위원회의 미국 측 대표를 맡았던, 이른바 국무부 내 최고의 ‘핵 협상 전문가’다.

한마디로 이번 북한 방문팀은 단순한 회담 의전 및 일정을 논의하는 수준을 지나 북한과 ‘합의문’을 조율할 정도의 작정을 하고 들어갔던 것으로 해석되는 구성이다.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안전보장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안전보장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

야심 차게 평양을 찾은 폼페이오 장관 일행이지만 이번 방문이 얼마나 결실을 볼는지 여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낙관적으로 보는 이들은 “폼페이오 일행의 방문으로 그동안 북·미 간에 막혀 있던 여러 이견이 한꺼번에 타결됐을 것”이라고 본다.
김정은-시진핑 2차 회담으로 북·미 간에 냉기류가 퍼지기 전에 바로 북·미 접촉이 이뤄진 것 자체가 북한이나 미국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브라이언 훅 미국 국무부 정책계획국장

브라이언 훅 미국 국무부 정책계획국장

게다가 폼페이오 장관이 9일 오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에게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적국이었다. 이제 이런 갈등을 해결하자”고 말한 것은 북한이 그간 줄기차게 전개해 온 ‘북한 적대시 정책 철회’ 요구에 호응한 측면이 있다.

하루 전 김정은 위원장이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적대시 정책과 안전 위협을 제거하기만 하면 북한은 핵을 보유할 필요가 없고, 비핵화는 실현 가능하다”고 말한 것에 “우린 그럴 뜻이 있다”는 의사를 전달한 셈이다.

또 폼페이오는 미국의 독자 제재 대상, 즉 ‘블랙 리스트’에 올라 있는 김 부위원장에 대해 “당신은 훌륭한 파트너”란 말도 했다. 둘 간의 실무협상은 물론 향후 ‘트럼프-김정은’ 회담 전망까지 밝게 하는 대목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지난 3월31일부터 4월1일에 걸쳐 북한을 방문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당시 중앙정보국 국장, 왼쪽)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백악관=연합뉴스]

지난 3월31일부터 4월1일에 걸쳐 북한을 방문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당시 중앙정보국 국장, 왼쪽)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백악관=연합뉴스]

다만 양쪽 관계가 틀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폼페이오 장관과 국무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 회담에서 ‘단계별·동시적 비핵화 조치’를 강조한 북한에 맞서 “우리는 잘게 세분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것으로 전해졌다.
‘살라미 협상전술’이라 불리는 단계별·동시적 조치를 일축하면서 자발적이고 신속한 핵 일괄 포기를 한 남아공 모델을 취하도록 압박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실제 이번 방북에 동행한 포틴저 보좌관은 지난 4일(현지시간) 워싱턴을 방문했던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등과의 만찬에서 “북한에 대한 남아공 비핵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한 바 있다.
게다가 미국은 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폐기 문제도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과거 실패했던 길을 답습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는 것이다.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

그 때문에 일각에선 이번 방북의 주 목적도 애초부터 미국인 3명 데려오기, 북·미 정상회담 장소와 날짜 확정 짓기로 한정됐던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