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삼성전자서비스 임원 소환…노조원 회유 자금 출처 추궁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삼성전자서비스 본사. 검찰은 지난달 18일 삼성그룹의 노조 와해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삼성전자서비스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중앙포토]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삼성전자서비스 본사. 검찰은 지난달 18일 삼성그룹의 노조 와해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삼성전자서비스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중앙포토]

삼성전자서비스의 ‘노조 와해 공작’과 관련한 검찰 수사의 칼날이 임원급 간부 등 윗선을 향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 김성훈)는 8일 오전 10시 최평석 삼성전자서비스 인사팀장(전무)을 소환했다. 최 전무에 대한 조사는 본사 임원에 대한 첫 번째 공개 소환조사다. 검찰 수사가 삼성전자 및 그룹 미래전략실 등 윗선을 겨냥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은 최 전무가 과거 사측과 노조 간 갈등을 조율하는 상생운영팀장으로 재직할 당시 노조원들을 상대로 노조 탈퇴를 회유하는 등 노동조합법을 위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날 최 전무를 상대로 삼성전자서비스가 노조 설립을 막기 위해 지역 센터를 위장폐업했다는 의혹과 포상금을 미끼로 노조 탈퇴를 회유했다는 의혹 등에 대해 추궁했다. 또 삼성의 노조 와해 공작에 한국경영자청협회(경총)이 관여하는 과정에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이 개입했는지 여부도 확인했다.

검찰은 최 전무가 노조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사측 조직인 종합상황실을 총괄한 만큼 이른바 ‘그린화’ 작업의 실무를 주도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실제 최 전무는 지난 5일 구속영장이 기각된 윤모 삼성전자서비스 상무의 상급자로, 노조 와해를 위한 방법들을 기획해 협력업체 대표들에게 하달하고 이 같은 와해 공작의 실적을 직접 보고받았다고 한다.

관련기사

앞서 검찰은 삼성전자서비스 본사와 해운대센터 등 지역센터를 대거 압수수색하면서 6000여건이 넘는 노조 대응 문건을 확보했다. 이 문건엔 노조 탈퇴를 설득해 성공한 직원들에게 포상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삼성전자서비스 일부 협력사에선 노조 탈퇴를 조건으로 노조원들에게 300만원의 현금을 지급한 정황도 포착됐다. 검찰은 노조 와해 공작에 사용된 돈이 본사 차원에서 조성한 자금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