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부동산 가격도 심리 영향…정책 일관성 필요"

중앙일보

입력

부동산 가격이 경제 주체의 심리에 따라 움직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금융감독연구센터의 표동진 선임연구원과 김정호 조사역은 30일 ‘감성과 주택 가격’ 보고서에서 부동산 심리와 주택가격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심리가 좋을 때 주택 가격이 오르고 가격 변동성이 줄어드는 반면, 심리가 나쁘면 주택 가격이 내리고 가격 변동성도 커진다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감성 분석 기법을 활용했다. 뉴스 기사나 댓글, 소셜미디어 등에서 경제 주체의 심리나 감정을 추출한 뒤 이를 지수화(부동산 심리지수)했다. 이 지수가 전국 및 서울 지역의 부동산 가격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다만 경제 주체의 심리가 서울 주택 가격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전국 전체의 주택 가격 변동성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표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심리지수 모니터링 결과는 향후 부동산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제 주체의 심리는 새로운 정보와 정책의 급격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과 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수준 높은 금융감독서비스를 학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2월 금융감독연구센터를 신설했다. 주요 연구 성과는 학술지 발간, 심포지엄 등 연구행사, 연구보고서 등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는 센터 신설 후 나온 첫 보고서다.

이새누리 기자 newworl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