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 훔치랬더니 사인 훔친 LG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18일 광주 KIA 챔피언스필드 LG 쪽 더그아웃 통로에서 발견된 KIA 포수 사인 분석지. [광주=뉴시스]

18일 광주 KIA 챔피언스필드 LG 쪽 더그아웃 통로에서 발견된 KIA 포수 사인 분석지. [광주=뉴시스]

프로야구계가 LG 트윈스의 ‘사인 훔치기’ 논란으로 시끄럽다.

벽에 붙인 구종별 사인 분석 발각 #LG 구단 사과…KBO는 징계 검토 #김성근 감독 "사인 뺏긴 쪽이 잘못"

LG는 지난 18일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상대 포수의 구종별 사인을 분석한 내용을 A4 용지에 적어 더그아웃 통로 벽에 붙여놨다가 발각됐다. 한 매체가 사진을 찍어 보도하면서 문제가 커졌다. LG 구단은 19일 “전력분석 파트에서 선수들에게 전달한 정보인데 주자가 도루를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해명했다. 이날 LG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고, 류중일 LG 감독은 KIA와 경기에 앞서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일이 일어났다. 현장 책임자인 감독으로서 야구 팬과 관계자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LG는 KIA 포수의 사인을 분석한 내용을 종이에 적어 경기 시작 전 더그아웃 통로에 붙여놨다. 경기 도중 KIA 포수의 사인을 파악해 더그아웃에 전달한 것은 아니다. 전날 경기를 통해 KIA의 사인을 미리 파악한 것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9일 LG의 이런 행동이 KBO리그 규정 1장 26조 ‘불공정 정보의 입수 및 관련 행위 금지’ 조항을 위배한 것으로 판단하고 징계를 검토하고 있다. 상벌위원회는 오는 20일 오후 열릴 예정이다. LG 관계자가 직접 상벌위에 출석해 해당 내용을 소명할 계획이다.

그동안 사인 훔치기 논란은 몇 차례 있었지만 이와 관련해 상벌위가 열린 적은 없다. KBO는 명백한 증거가 포착됐기 때문에 전례 없는 상벌위 개최를 결정했다. 상벌위에서는 규정 위반 여부를 심의할 예정이다. KBO리그 규정에 따르면 ‘벤치 내부, 베이스코치 및 주자가 타자에게 상대 투수의 구종 등의 전달 행위를 금지한다’고 돼 있다. ‘벤치 외 외부 수신호 전달 금지, 경기 중 외부로부터 페이퍼 등 기타 정보전달 금지’라는 내용도 있다. 규정 위반 여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KBO는 최근 ‘클린 베이스볼’을 강조하고 있다. KBO 관계자는 “리그의 공정성과 품위 손상을 야기했는지도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상대팀의 ‘사인 훔치기’ 는 국내외 프로야구에서 종종 불거졌던 일이다. 각 구단 전력분석팀은 상대의 경기력 뿐만 아니라 투·포수의 구종 사인과 1·3루 코치의 작전 사인도 분석한다. 투수가 던질 구종을 주자가 미리 알게 된다면 도루 성공률은 당연히 높아진다. 도루를 할 때 직구보다 변화구 타이밍에 뛰는 것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타격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상대 팀은 사인을 간파당했다는 느낌이 들면 시즌 중에도 사인을 바꾼다. 김성근 전 감독은 사인 훔치기를 두고 “사인을 뺏기는 쪽이 잘못”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해 메이저리그에선 ‘숙명의 라이벌’ 보스턴 레드삭스와 뉴욕 양키스 간에 사인 훔치기 논란으로 신경전이 벌어졌다. 보스턴은 외야에서 양키스 포수의 사인을 촬영해 분석한 뒤, 스마트기기를 통해 이를 더그아웃에 있는 코칭스태프에게 전달했다. 그러자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보스턴 구단에 벌금 징계를 내렸다. 정확한 징계 사유는 사인 훔치기 자체가 아니었다. 롭 만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는 “상대 포수의 사인을 훔치는 행위를 제재할 규정은 없지만 전자기기를 사용해 사인을 훔치는 건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매든 시카고 컵스 감독도 “사인 훔치기는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LG는 불필요한 오해를 자초한 측면이 있다. 경기 전 선수들끼리 미리 알려줘 숙지할 수 있는 내용이었지만, 외부인이 볼 수 있는 곳에 버젓이 공개했다가 긁어 부스럼을 만들었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