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성 훼손 논란… 참여연대, 기업에 사무실 이전비 모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참여연대가 기업들로부터 후원금을 받아왔으며, 올해에도 후원금 모집을 위해 기업들에 초청장을 보낸 것으로 밝혀져 시민단체의 독립성과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다.

3일 재계와 참여연대에 따르면 참여연대는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후원의 밤 행사의 초청장을 상장사와 주요 벤처기업 등 850곳에 일괄적으로 보냈다. 최대 500만원까지 낼 수 있는 후원금 약정서도 동봉했다. 4일 열리는 이 행사는 참여연대의 새 사무실 마련을 위한 것이다. 참여연대는 건물주의 퇴거 요청으로 8년 가까이 사용해온 지금의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무실을 비워줘야 할 처지다.

참여연대는 지난해에도 6980만원의 기업 후원금을 받았다. 초청장을 받은 한 기업 관계자는 "기업 감시활동을 많이 하는 참여연대로부터 초청장을 받으니 안 갈 수도 없고 좀 부담이 된다"고 했다.

참여연대는 이날 해명서에서 "보금자리 마련을 위해 지난 2월부터 2700여 시민회원들이 십시일반으로 정성을 모았다"며 "후원금의 경우에도 상한을 정해 놓았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창립 이후 10년간 후원의 밤 행사의 후원금 상한액을 100만원으로 제한하다가 2004년부터 이를 300만원으로 올렸다. 새 보금자리를 마련한다는 숙제 때문에 올해에 한해 500만원으로 상한액을 늘렸다.

참여연대 김기식 사무처장은 "소정의 기업 후원금을 받더라도 활동의 독립성을 유지해왔음은 후원의 밤 상한제나 그 금액의 수준, 그간 참여연대의 기업 관련 활동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며 "2005년 참여연대의 연간 수입 13억6500여만원 중 정기 후원회를 통해 기부받은 기업 후원금은 전체의 5.12%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하다"고 했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에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참여연대가 정작 자신에게는 덜 엄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홈페이지에는 '참여연대의 공익성과 독립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개인과 단체의 후원금은 받지 않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참여연대는 재정의 독립성을 중시해 정부로부터는 일체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있다.

한편 참여연대는 6일 재벌 총수 일가의 비상장계열사 지분 취득 및 지원성 거래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서경호.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