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정의모임' 교섭단체 출범 잠정합의…첫 원내대표 노회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잠정합의안을 29일 발표했다.

공동교섭단체의 명칭은 평화를 먼저 배치한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약칭 평화정의모임)'으로 정했다. 그 대신 초대 등록 원내대표는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가 먼저 맡는다. 평화정의모임은 공동 원내대표 체제로 운영하면서 국회에 등록하는 한 명의 원내대표는 양당이 교대로 맡기로 했다.

민주평화당 이용주(왼쪽)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의당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가 29일 국회에서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공동교섭단체 잠정합의안을 발표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평화당 이용주(왼쪽)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의당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가 29일 국회에서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공동교섭단체 잠정합의안을 발표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평화당 이용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양당은 독자적인 활동을 하면서 공동교섭단체에서 한반도 평화 실현,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 노동존중사회 실현 등 8대 정책공조과제의 실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교섭단체 운영 기간은 20대 국회 임기가 끝나는 시점까지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는 "각 당은 공동교섭단체를 언제든 탈퇴할 수 있고 탈퇴 전에는 서로에게 알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당은 이르면 다음 달 2일 국회에 네 번째 교섭단체로 등록할 계획이다. 평화당은 29일 오후 강원도당 창당대회에서 잠정 합의안을 당 지도부에 보고하고 추인을 받을 계획이다. 정의당은 이날 당 상무위원회를 통과한 잠정합의안을 31일 소집하는 전국위원회로 보내 최종 승인받기로 했다. 각 당 내부 절차가 마무리되면 양당은 조인식을 한 뒤 국회에 등록할 예정이다.

평화당과 정의당은 의석 수가 각각 14석, 6석으로 국회 교섭단체 기준인 20석을 가까스로 맞췄다. 앞서 정의당은 공동교섭단체 유지를 위해 6·13 지방선거에서 현직 의원을 광역단체장 선거에 차출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달라고 평화당에 요구해왔다. 이 때문에 양당은 공동교섭단체 잠정합의문에 "안정적인 교섭단체 유지 발전을 위해 책임 있는 노력을 다한다"는 내용을 넣었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언론을 통해서 공개적으로 특정 의원의 출마 문제 때문에 공동교섭단체가 해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며 "현 단계에서 불출마를 확인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 구성 잠정합의문. [중앙포토]

민주평화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 구성 잠정합의문. [중앙포토]

평화당 장병완 원내대표, 이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의당 노 원내대표,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28일 오후 늦게 2+2 회동을 열어 밤 11시쯤 공동교섭단체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이후 29일 오전 평화당 이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의당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잠정합의안을 발표했다.

송승환·성지원 기자 song.seunghw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