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 석달 연속 둔화

중앙일보

입력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거래가 늘면서 지난달 은행권 가계주택담보대출이 1조8000억원 늘어났다. 사진은 지난 1월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연합뉴스]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거래가 늘면서 지난달 은행권 가계주택담보대출이 1조8000억원 늘어났다. 사진은 지난 1월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연합뉴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석 달 연속 둔화했다.

설 상여금 지급에 신용대출 줄어 #2월 주택 매매 늘며 주담대 증가 #1ㆍ2월 증가액 2008년 이후 최대 # #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5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지난해 12월(4조1000억원)과 전달(2조7000억원)보다 줄어들었다.

 하지만 1~2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5조2000억원)는 2008년 통계 편제 이래 1~2월 증가액으로는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1조8000억원 늘어났다. 전달(1조3000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커졌다.

 한국은행은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주택매매거래가 호조를 보이며 증가 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만1000호였다. 전달보다 1000호가 늘어났다.

2월 은행권 가계대출. 자료: 한국은행

2월 은행권 가계대출. 자료: 한국은행

 가계대출 증가세를 가라앉힌 것은 마이너스 통장 등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다.

 지난달 기타대출은 8000억원 늘어나며 전달(1조4000억원)에 비해 증가 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신용대출은 지난달 3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은행의 기업대출도 3조3000억원 늘어나며 전달(7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3조9000억원 줄어들었다. 반면 중소기업대출은 4조8000억원 늘어나며 전달보다 증가 폭(3조6000억원)이 확대됐다.

 한편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1월 시중통화량(M2) 잔액(2551조1960억원ㆍ원계열 기준)은 전년동월대비 5.5% 늘어나며 지난해 6월(5.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2년 미만의 정기 예금과 적금 등 단기금융 상품으로 이뤄져 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