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개막식서 따로 입장한 남북 선수단…"한반도기 이견 때문"

중앙일보

입력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개회식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개회식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8 평창 겨울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 선수단이 각각 따로 입장했다. 지난 겨울올림픽 개막식에서는 한반도기를 들고 함께 입장했다.

평창 겨울패럴림픽에서 북한이 입장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

평창 겨울패럴림픽에서 북한이 입장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

9일 강원도 평창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패럴림픽에서 남북이 따로 입장했다. 이날 선수단은 그리스를 필두로 가나다 순으로 입장했다. 북한은 일본에 이어 34번째로, 북한선수단의 인공기는 노르딕스키에 출전하는 김정현 선수가 들었다.

지난달 9일 강원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개회식에서 한국의 원윤종(오른쪽)과 북한의 황충금이 한반도기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달 9일 강원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개회식에서 한국의 원윤종(오른쪽)과 북한의 황충금이 한반도기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주최국인 한국은 마지막 순서로 입장했다. 패럴림픽 6종목에 모두 출전하는 신의현 선수가 태극기를 들고 입장했다. 한국은 그간 패럴림픽에서 은메달 2개를 땄다. 이번 대회에서는 첫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당초 남북과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남북 선수단이 공동 입장하는데 합의했다. 그러나 하루 전인 8일 한반도기에 독도를 표시하는 문제를 놓고 북한과 IPC 간에 이견이 발생했다. 북한은 지난달 끝난 올림픽에서도 줄곧 "한반도기에 독도를 표기해 달라"고 주장했지만 IPC는 "올림픽에서 이미 쓰인 기존 한반도기 디자인을 변경할 수 없다"고 맞섰다.

이번 패럴림픽에는 49개국 570명의 선수가 참여해 열흘간 치러진다. 선수들은 알파인스키·스노보드·바이애슬론·크로스컨트리스키·아이스하키·휠체어컬링 등 6개 종목에서 80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한다.

백민경 기자 baek.mi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