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 개혁 시민연대 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시민단체가 본격적인 정치자금 투명화 운동에 나섰다.

경실련.한국YWCA.흥사단 등 68개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는 4일 오전 서울 대학로 흥사단 강당에서 소속 단체 대표자 회의를 열고, '정치개혁안의 국회 통과를 위한 타 시민단체와의 연대'를 적극 추진키로 결의했다.

서경석(徐京錫)공선협 공동대표는 이날 "내년 총선은 기업이 정치권에 비자금을 주지 않는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며 "정치자금 개혁운동에 모든 시민단체를 참여시켜 범국민적 기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선협은 정치개혁시민연대는 물론 민주노총 등 직능단체와 철거민연합회 등 생활단체와도 연대할 방침이다.

공선협은 이날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모았다.

이 방안은 ▶자료제출 요구권 부여를 통한 선관위의 실사권 강화▶선거비용의 신용카드 사용 의무화▶고액 기부자 실명 공개 등이 골자다.

선관위가 최근 밝힌 정치자금 실사 방안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공선협은 오는 8일 개혁안 확정 소위를 열어 최종안을 정할 계획이다. 공선협은 정치자금 투명화를 위한 대국민 서명작업과 국회.정당 앞 시위도 검토하고 있다.

또 정치자금을 제공해온 대기업에 대해서도 경영자 면담과 집회를 통해 '불법 선거자금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유도해낼 방침이다.

고계현(高桂鉉)경실련 정책실장은 "정치색을 띤 시민단체의 운동만으로는 정치권의 설득이 어려운 만큼 이번 연대는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할 것"이라며 "이 연대를 통해 개혁안의 국회 통과를 반드시 관철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선협은 최근 굿모닝 게이트.권노갑 파문 등을 통해 정치자금의 투명성 확보가 정경유착 일소와 부패 단절의 핵심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도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지난 총선에서 낙천.낙선운동 등을 둘러싸고 노선을 달리했던 정치개혁시민연대에까지 이번 개혁운동을 함께 하자고 손을 내밀었다. 이를 통해 정치권을 압박한다는 계산인 것이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