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작년 9000억 적자 … 4년간 손실 합하면 3조 육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난해 한국GM이 90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낸 반면 미국 GM 본사는 약 119억 달러의 세전 이익을 거뒀다.

GM 본사는 작년 이익 119억 달러

1일 정부와 KDB산업은행에 따르면 GM 측은 한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난해 실적 추정치를 제시했다. 비상장사인 한국GM은 보통 4월 중 감사보고서를 통해 확정 실적을 공표한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련기사

한국GM은 2014년 3534억원, 2015년 9868억원, 2016년 631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9000억원의 순손실을 합하면 4년간 총 순손실 규모가 3조원에 육박한다. 이처럼 손실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GM은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섰다. 부채비율은 2014년 말 435%에서 2015년 1062%, 2016년 말엔 8만4980%로 급증했다. 지난해 영업손실 추정치는 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14년 1486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뒤 2015년 5944억원, 2016년 531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정부와 산은은 한국GM이 부실화한 주요한 원인으로 GM 본사의 글로벌 전략 수정을 꼽는다. GM은 현재 중국과 북미 위주로 시장을 재편 중이다. 특히 2013년 쉐보레 브랜드를 유럽 시장에서 철수시켜 한국GM에 타격을 줬다. 한국GM의 대(對)유럽 수출물량은 2012년 13만7750대에 달했지만 지난해엔 205대로 급감했다.

반면 GM 본사는 2년 연속 100억 달러가 넘는 세전 이익을 기록했다. GM 본사가 지난달 발표한 실적자료에 따르면 GM 본사는 2016년 120억1000만 달러, 지난해에는 118억6000만 달러의 세전 이익을 올렸다. GM 본사는 지난달 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전면적 변화가 2017년 GM에 기록적인 성과를 가져왔다”며 “수익성이 좋은 부문에 자원을 집중하기 위해 오펠과 GM파이낸셜 유럽 법인을 매각했고 남·동아프리카 및 인도 시장을 떠났다(exited)”고 밝혔다.

고란 기자 ne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