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기업 방북 재신청 “시설 보존 대책 시급”

중앙일보

입력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26일 정부에 방북 신청서를 제출했다.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이번이 5번째다.

지난2월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장진영 기자

지난2월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장진영 기자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개성 공장과 설비들이 남북관계 단절로 방치된 지 2년이 넘었다. 시설 점검과 보존대책을 세우는 게 시급하다"며 방북 신청 취지를 밝혔다.

비대위는 "그동안 4차례 방북 신청이 성사되지 않았지만 이번엔 이뤄질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방북 신청을 한다"며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군 통신선과 경의선 육로와 하늘, 바닷길이 열렸기에 남북관계 개선에 희망을 봤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기업인들이 재산을 확인하고 설비 노후화를 최소화하도록 남북 당국이 모든 노력을 기울여 달라"며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개성공단 방북 승인이 이루어지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비대위가 희망하는 방북 시기는 다음 달 12일이다. 방북 희망 규모는 투자기업 123개사, 영업기업 80여 개사 등 200여 개사에서 1명씩 총 200여명이다.

정부가 2016년 2월 개성공단 전면중단을 결정한 이후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이전 정부에서 3차례, 현 정부에서 1차례 방북 신청을 했으나 모두 성사되지 않았다.

개성공단은 2016년 2월 10일 박근혜 정부의 판단으로 전격 중단됐다. 입주기업은 124곳으로 협력업체는 5000여 곳이다. 관련 종사자 수는 약 10만명에 이른다. 문재인 정부는 확인한 피해 금액 7861억원의 약 74%를 지원하기로 했다. 중단 이후 안보 우선론과 국제 사회의 공조에 맞춰 개성공단 폐쇄를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배재성 기자 hongod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