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재밌다] 루지 입력하면 연관어가 사망·사고? 최고 시속 154㎞ 가장 위험한 썰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10일 강원도 평창 슬라이딩센터에서 훈련하고 있는 한국 루지 여자 대표팀의 성은령. [연합뉴스]

10일 강원도 평창 슬라이딩센터에서 훈련하고 있는 한국 루지 여자 대표팀의 성은령. [연합뉴스]

‘루지(luge)’는 썰매에 누운 채 얼음 트랙을 활주하면서 누가 더 빠른가를 겨루는 경기다. 누워서 경기를 하기 때문에 언뜻 보면 쉽고 편할 것 같다. 눈썰매장에서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누워 있으면 저절로 썰매가 내려가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거다.

하지만 루지는 겨울올림픽 썰매 종목 중 가장 빠르고, 위험한 종목이다. 기네스북에 등재된 썰매 종목 최고속도를 비교해 보면 루지가 시속 154㎞, 봅슬레이가 153㎞다.

속도가 엄청나다 보니, 루지를 타고 얼음 트랙위를 내려가다 사고가 벌어지는 경우가 왕왕 있다. 실제로 인터넷 검색창에 루지를 입력하면, 연관 검색어로 ‘루지 사망’ ‘루지 사고’가 나온다. 실제로 루지를 타다가 선수가 사망한 일이 종종 있었다.

관련기사

역대 겨울올림픽에선 두 차례나 사망 사고가 있었다. 첫 사고는 루지가 겨울올림픽에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던 1964년 인스브루크 대회에서 벌어졌다. 영국의 카지미에르카이-스크르지페키가 연습 도중 사고로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두 번째 사고는 2010년 밴쿠버 겨울올림픽에서다. 대회 개막을 앞두고 훈련을 하던 조지아의 노다르쿠 마리타시빌리가 사고로 사망했다. 당시 밴쿠버올림픽이 열린 휘슬러 슬라이딩센터는 코스가 어렵고 위험한 것으로 악명 높았다. 이 사망사고로 인해 실전 경기는 예정된 스타트 위치보다 낮은 곳으로 변경됐다.

루지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썰매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또한 선수가 중심을 잃고 경기장 밖으로 튕겨 나가 다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2018 평창 겨울올림픽에서는 한 명의 선수도 다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실력을 겨룰 수 있기를-.

정아람 기자 a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