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지지율 하락에 청와대가 보인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암호화폐 이미지(좌)와 여자 아이스하키 한국과 북한 선수 (우) [중앙포토, 연합뉴스]

암호화폐 이미지(좌)와 여자 아이스하키 한국과 북한 선수 (우) [중앙포토, 연합뉴스]

청와대는 22일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60%대 중반으로 떨어진 것과 관련해 "일희일비하지 않고, 국민 여론을 겸허하게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지난 15∼19일 전국 성인 2509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0%포인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전주보다 4.6%p 내린 66%를 기록했다.

이는 북한 6차 핵실험 여파로 취임 후 최저치를 보였던 작년 9월의 65.6%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이에 청와대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떨어질 만한 요소가 있으니 떨어지는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지지율을 보고받진 않는다"며 "국민 여론은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다만) 여론조사 (지표는) 떨어질 수도 올라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 가운데 문 대통령 핵심 지지층인 30대 지지율이 9.9%p나 하락하는 등 젊은 세대의 이탈 현상에 주목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암호화폐나 여자 하키 단일팀 구성에 관해 20~30대의 정의롭지 못하다는 여론과 젊은 층의 이탈이 조금 눈에 띄는 건 사실"이라며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대책을 잘 세운다면 또 평가받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지난 3월 서울 세종로 한국프레스센터 빌딩에서 바라본 청와대 전경[중앙포토]

지난 3월 서울 세종로 한국프레스센터 빌딩에서 바라본 청와대 전경[중앙포토]

그러면서 단일팀 구성이 다급히 이뤄졌다는 지적을 수용했다.

이 관계자는 "올림픽 성공을 위한 과정에서 남북관계 개선이 다급하고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해 과거처럼 이견이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고백하며 "공정하지 못하다는 측면에서 20∼30대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았다. 이런 경험으로 좀 더 세밀한 정책 결정 등에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2030세대 설득을 위한 추가 메시지가 있냐'는 질문엔 "말로 설득될 문제는 아니다. 2030세대가 취업절벽, 청년실업에 내몰린 절박한 상황에 공정이란 키워드에 민감하게 반응한 건 반성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면서도 "여론을 수용해야 하지만 현실도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단일팀 구성 과정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국민도 (그것이) 국익뿐 아니라 개인에게 이익이 되는 쪽으로 결과가 나온다면 (국민적) 합의로 갈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 "단일팀 구성 결과가 우리 국민에게 감동스럽게 나타나기를 정말 기도하는 마음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