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MB 수사에 “피의사실 계속 공표, 좋지 않은 관행”

중앙일보

입력

정세균 국회의장이 지난 15일 국회접견실에서 신년기자회견을 했다. 강정현 기자

정세균 국회의장이 지난 15일 국회접견실에서 신년기자회견을 했다. 강정현 기자

정세균 국회의장은 “과거의 바람직하지 않은 (수사) 모델이 재판(再版)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영국ㆍ포르투갈 공식방문 일정을 마친 20일 포르투갈 리스본의 한 호텔에서 한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최근 자신과 주변 측근들을 겨냥한 검찰 수사를 ‘정치보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또 이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의 국정원 특활비 사적 사용 의혹 등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선 “수사에 성역은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피의사실이 계속 공표되는 좋지 않은 관행은 언제 정상화될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정 의장은 앞서 지난 15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적폐청산과 관련해 “철저하고 완벽하게 추진돼야 한다는 게 소신이지만 조용하게 이뤄졌으면 좋겠다”며 “적폐청산 때문에 국정의 일부가 방해받는 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고, 피의사실 공표로 너무 심한 논란이 일어나고 갈등과 분열이 유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정 의장은 이날 암호화폐 규제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 마디했다. 그는 “투기를 막는 것은 필요하다고 보지만 그것이 신기술까지 가로막는다면 교각살우(矯角殺牛)가 될 수 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그런 정책역량이 발휘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가상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이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기술 중 하나라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가상화폐에 대해 규제할 것은 적절히 규제하되 장려할 것은 장려하는 그런 온당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