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국방장관, 평창 올림픽 이후 연합훈련 실시 논의”

중앙일보

입력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왼쪽)과 송영무 국방장관. 김경록 기자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왼쪽)과 송영무 국방장관. 김경록 기자

송영무국방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평창 겨울올림픽 이후 연합군사훈련 실시를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아사히신문은 송 장관과 매티스 장관이 오는 27일 미국 하와이에서 회담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회담은 미국 측의 요청으로 열리는 것”이라며 “한국 일부에서 한미연합훈련 축소를 모색하는 소리가 있어 미국 측이 위기감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회담에서는 연기한 한미 연합훈련을 평창 패럴림픽이 끝나는 3월 18일 이후 신속하게 실시하기로 확인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어 “올해는 상륙훈련에 최대한 병력을 투입하는 해로, 규모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매티스 장관은 지난 4일(현지시각) “한미 연합군사훈련은 오는 3월 9~18일 개최되는 평창 패럴림픽 이후 실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의 대남선전용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16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연기가 아닌 완전 중지를 요구했다. 매체는 “진정으로 북남관계 개선을 바라고 조선반도의 평화적 환경 마련을 위해 노력할 용의가 있다면 ‘키리졸브’ ‘독수리’ 합동군사연습을 연기할 것이 아니라 완전히 중지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국방부 역시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관하에 진행된 업무보고에서 북한이 평창 올림픽 참가를 명분으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방부는 “북한은 핵 무력 완성을 기정사실로 한 가운데 평창올림픽 참가를 명분으로 한미 연합연습 중단과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중지를 요구하는 등 한미공조 이완을 시도할 것”이라며 “대미 전쟁억제력 확보 차원의 핵ㆍ미사일 능력 강화를 지속하면서 북핵 문제는 협상의 여지를 배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