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문재인 정부의 타겟은 MB, 盧처럼 포토라인 세우려 기획수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가 18일 국회에서 3차 회의를 열었지만 위원 '사·보임' 문제로 파행했다. 회의전 김성태 새누리당 간사와 안민석 새정치민주연합 간사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중앙포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가 18일 국회에서 3차 회의를 열었지만 위원 '사·보임' 문제로 파행했다. 회의전 김성태 새누리당 간사와 안민석 새정치민주연합 간사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중앙포토]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19일 "문재인 정부의 궁극적 타겟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했던 것처럼 MB도 검찰 포토라인에 세우고 말겠다는 심정으로 표적으로 삼고 기획수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이 집권한 이후 최고위원회의, 원내대책회의 이런 공개석상은 거의 이명박 전 대통령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당(자유한국당)에서 파악해보니 민주당 지도부가 공개 비판한 횟수만 해도 백 차례가 넘는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함께 출연한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에 대한 반박성으로 나왔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구속된 데 대해 "이 전 대통령의 지난 40년 동안의 분신"이라며 "형을 살게 되면 특정범죄가중처벌이라는 것 때문에 뇌물죄와 국고손실죄를 적용받는다. 과연 이 죄를 다 뒤집어쓸 것인가. 이 전 대통령이 시키는 대로 자백하게 되면 구정 전에는 이 전 대통령이 포토라인에 서고 구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사실상 정치보복의 성격"이라며 "국정원 댓글 사건으로 이 전 대통령까지 올라갈 수 있을지 확실치 않으니까 다스로, 국정원 특수활동비로 파고든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다스는 자동차 부품 회사로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그는 국정원 특활비와 관련해서도 "DJ, 노무현 정권에서는 그걸로 수조 원 북한의 김정일 정권에게 (전달해서) 오늘날 핵미사일로 되돌아온 북한의 통치자금으로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DJ 최측근인 사람들이, 김옥두 전 총장이라든지, 이런 최측근이라는 사람들도 국정원 수표에 사용한 그런 내용이 이미 나오고 있다"고 받아치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불거진 국정원 특활비 활용이 보수 정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취지다.

백민경 기자 baek.mi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