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대중교통 무료 논란에 “50억보다 시민 생명이 우선”

중앙일보

입력

박원순 서울시장(좌)과 16일 서울타워 전망대에서 먼지로 뒤덥힌 서울 시내를 보고 있는 시민(우)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김상선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좌)과 16일 서울타워 전망대에서 먼지로 뒤덥힌 서울 시내를 보고 있는 시민(우)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김상선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대중교통 무료 정책에 대해 "50억을 선택할 것이냐.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선택할 거냐(하면) 당연히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선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16일 방송된 'JTBC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재정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생명을 재정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와 자세의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박 시장은 "교통량이 얼마나 줄어드느냐에 따라 미세먼지가 확실히 줄어들게 돼 있다. 서울에 불어오는 미세먼지 절반 정도가 중국의 영향이 크고 나머지 절반 중의 절반인 25%는 자동차 배기가스 때문이란 분석이 있다"면서 "중국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한계가 있는데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야 하지 않겠냐"고 설명했다.

이어 "미세먼지는 침묵의 살인자란 말이 있다. 실제 OECD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2010년에 만칠천명의 조기 사망이 있었다고 하고 2060년이 되면 5만 명으로 늘어난다고 한다. 그러니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박 시장은 '50억을 들여 교통량 1.8%가 감소했다며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는 비판 여론에 대해서는 "1.8%가 반드시 적은 것이라고 생각 안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가 첫 번째로 발령됐다. 미세먼지가 심각한 경기도, 인천, 충북도 함께 다 참여한다면 훨씬 높아진다. 이런 논쟁이 있기에 시민들 참여도 더 많아질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손석희 앵커는 혈세 낭비 지적에 대해 다시 한번 반문했다.

박 시장은 ""비상저감 조치를 발령하는 것은 1년에 7번씩 되는 것이라고 예산을 반영해놨고, 경기도나 인천도 참여할 만 하다"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 월드컵 경기 때 전국적으로 했던 차량 2부제가 가장 효과가 있다. 서울시는 법령상 그럴 권한이 없다. 그래서 자발적 협력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JTBC 뉴스룸 화면 캡처]

박 시장은 마지막으로 "시민들이 웬만하면 차를 두시고 공짜로 이용해주시면 그만큼 에너지 낭비도 막고, 시민들의 건강도 좋아지는 것이니 그런 시민들의 협력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17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가 발령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출퇴근 시간 서울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조처했다.

대중교통 요금 면제는 출근 시간인 첫차 출발 때부터 오전 9시까지, 퇴근 시간인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적용되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지하철 1∼9호선, 우이신설선 요금이 면제된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