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억을 쌈지돈 쓰듯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전경환새마을」비리·부정에 대한 검찰수사가 전국에서 동시 진행되고 있으나 전경환씨와 새마을본부의 내막을 잘아는 관계자들은 현재 검찰이 펴고있는「새마을」측 경리장부를 토대로한 수사에 커다란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전경환씨가 81년1월 사무총장취임후 새마을운동 중앙본부를 완전한 사조직으로 운영하며 금전출납에 있어 공·사의 구분없이 86년까지 본부 예산만도 1천1백억(공식집계)돈을 「쌈짓돈 쓰듯」지출해 온데다 장부처리 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현재의 장부는 대부분사후에 꾸며 맞춘 엉터리라는 지적이다.
이에따라 공식가무에 기재된 지출금액은 실제보다 과다계산되는등 의문이 많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관계자들은 따라서「전씨새마을」비리·부정을 정확히 밝혀내기 위해서는 전씨와 그 가족은 물론 주변인물들의 재산상태등을 국세청등 관계기관의 협조를 얻어 원천조사하고 기업등을상대로 성금기탁 실제액수를 확인,부정을 추적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난맥운영=관계자들은 전씨가 새마을 본부외에 주식회사 새마을신문사·사단법인 사회체육진흥회·재단법인지도자 육성재단·사회복지법인 창송원·사단법인 해외개발연구원등을 따로 설립해 동시 운영하면서 성격이 다른 이들 단체를 사실상의 사조직으로 만들어 인사·재정을 통합 운영하는가 하면 조직상의 경리 책임자와는 별도로 사업에 따라별도 경리책임자를 두는등 난맥으로 운영해 왔다.
또 회계처리에 대한 관념이 전혀 없어 경리장부는 대부분 사후에 꾸며 맞춘것이며 특히 지난해 감사원감사에서 지적 받고 일제정리를 해 둔것으로 알려졌다.
◇허구계수=이처럼 사후에 꾸며맞춘 장부정리에 따라 곳곳에서「부정」용의점이 노출되고 있다.
가장 큰 부정의 소지가 있는 새마을성금의 경우 지난해 감사원 감사에서의 공식집계는 2백56억원이나 경제계 에서는 이는 실제액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보고있다.
전경련측의 조사에 따르면 85년 한해만 1백75억원을 각 기업이 낸 것으로 추정되나 새마을본부측 장부엔 27억원이 걷힌 것으로 되어있다.
새마을신문사의 경우 가공인물 10여명에게 월급을 지급한 것처럼 꾸민 혐의점이 잡혀 검찰수사대상에 올라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