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4월 21일께로 늦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정당은 소선거구제의 국회의원선거법안을 8일까지 강행 처리한다는 방침을 확정함에 따라 공천 및 선거일정을 재조정, 서울·부산등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의 공천은 가능한 앞당기되 전면 소선거구제 하에서 지구당창당 등 필수적 일정을 감안해 총선거일자는 당초 예정보다 다소 늦추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민정당은 선거법이 국회를 통과한 직후인 9일 심명보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8, 9명의 위원으로 조직강화특위를 구성, 그동안 당에서 압축해놓은 1차 공천자를 11일께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2백25개의 지구당을 창당하여 지구당조직 등을 새로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선거준비에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 선거일자는 4월 21일께로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의 고위 당직자는 『전면 소선거구제가 됨에 따라 신인이 지구당위원장을 맡게 되는 지역의 경우 조직인선 등 창당준비작업에 의외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어려움 때문에 선거일을 당초 예정한 4월- 12일보다 1주일정도 늦추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면서 『그렇다고 법정기일인 4월28일 「막바지는 피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4월20일 전후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정당은 그동안 내부적으로 현지에 보낸 실사반 및 관계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심사를 압축해 놓고 있는데 2백25개 지역구 가운데 70∼80개 선거구는 내부적으로 공천이 확정된 상대이며 나머지 지역도 서울을 제외하고는 2배수 정도로 인선을 압축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차 공천자는 ▲현역 지구당위원장 70여명 ▲전국구에서 지역구로 진출할 의원 10여명 ▲공천경합자가 없어 일찍이 내정이 확정된 30여명 등 모두 1백10여명쯤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갑작스럽게 소선거구제로 바뀜에 따라 서울 등 대도시는 인물난으로 공천작업이 진통, 빨라야 15일께야 인선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당의 한 관계자는 『현역지구당의원 가운데 그동안 지구당활동이 부진하거나 새 정부의 이미지에 맞지 않는 인물과 이권개입을 했던 사람들은 비록 소선거구제가 됐다 하더라도 당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위해 바꾸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현역 지구당위원장 가운데 20%쯤이 탈락하고 대신 전국구 의원 중 20여명이 지역구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진통을 겪고있는 서울지역의 경우 ▲중진거물급에서 2명 정도 영입하고 ▲30∼40대 인사 중 참신한 인물을 3∼4명 정도 ▲기타 학계·언론계·문화예술계 등에서 인선을 좁히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