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열기 벌써부터 뜨겁다|1천명이상 출마…4대1 넘을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3대 총선을 한달 남짓 남기고 선거열풍이 서서히 불기 시작하고 있다. <관계기사 3면>
4월 중순에 선거가 실시되면 앞으로 남은 기간은40일쯤.
국회의원선거구가 확정되지 않아 눈치보기가 한창이지만 선거법 확정과 함께 일제히 선거운동에 뛰어들 채비다.
아직 공천경합 등 잠복성경쟁이 대부분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인사 핑계로 유사선거벽보와 플래카드가 나붙고 있으며 구정을 전후해서부터 라면·양말·연탄 등 생필품과 시계·손가방까지 돌리는 선물공세가 시작됐다. 동창회·계모임·화수회도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에서는 친척·친지들의 주민등록지 옮기기 작전을 펴 선거를 전후한 인구이동도 적지 않을 듯 하다.
선거구가 소선거구로 되면 71년 8대 이후 17년만에 다시 소선거구가 부활돼 더욱 선거전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민정당 안 대로면 전국 선거구는 2백24개, 민정당과 민주·평민당이 통합되지 않으면 각각 후보를 낼 작정이고 공화당도 전국 모든 지역구에서 공천자를 낼 예정이어서 적게 잡아도 경쟁률이 4대1을 넘어 전국에서 1천명이상의 금배지 지망생들이 격전장을 누빌 것으로 보인다.
선거는 어느 때보다 과열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미 상대출마 예상자에 대해 『이권운동 했다』『여자관계가 복잡하다』고 비방하는 등 흑색선전이 나돌고있으며 타락상도 나타나고 있다.
일부에서는 『지난 대통령 선거 영향으로 씀씀이가 헤퍼졌다』며 「돈선거」가 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는데 하루2만원쯤 주던 선거운동원도 일부 3만원을 내야 구할 수 있어 대도시선거구에서는 운동경비로 10억원대가 들것이라는 예상도 있으며 재력가들의 출전소문이 있는 울산에는 수백억원이 퍼부어질 것이라는 억측도 나돌고 있다.
민정당 측 관계자들은 소선거구가 되면 중선거구 때보다 지역은 좁아지지만 선거운동의 치열상은 더 심해 운동경비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판단하고있다.
지난 선거때 격렬하게 노출됐던 지역감정이 또 한차례 터져 나올지 모른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민주당은 부산과 서울 등 중부권 일대, 평민당은 호남과 서울, 공화당은 충남일대에서 우세를 예상하고 있으나 민정당 측은 선거 후 야당의 지리멸렬로 경북·강원·충북 등 여성지역뿐 아니라 경기·충남 등 중부권, 전북에서의 우세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는 퇴세를 만회하려는 야당 측과 새 정부에 대한 안정적 지지를 확고히 다지려는 민정당 측이 총력을 기울일 작정이어서 「대결전」이 예상되는데 선거구의 획정방향, 야당통합에 따라 바람이 크게 바뀔 가능성도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