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보충제, 중성지방 개선 근거 불충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오메가3 지방산(보충제)이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예방 효과에 별로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영양학계가 반박하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주로 식품으로 섭취하며, 중성지방 개선과 뇌세포 발달을 돕는 EPA·DHA 등의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건강기능식품(건기식)으로 인정돼 있다.

국립암센터 명승권팀 분석 논란 #미국심장협회선 섭취 권고 #식약처 “연구 결과 검토해 봐야”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 암의생명과학과 명승권(가정의학과 전문의) 교수팀은 1988~2016년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오메가3 지방산과 관련한 임상시험 논문 58편을 분석해 보니 이런 결론이 나왔다고 12일 발표했다. 외국 연구 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먹은 사람의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위약(가짜 약)을 먹은 사람에 비해 38.6㎎/dL 낮았다.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은 3㎎/dL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 교수는 “임상시험 간 효과 차이가 심했고, 전반적으로 임상시험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았다”며 “오메가3 지방 산이 이상지질혈증, 특히 고중성지방혈증 예방·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기엔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의 권고와 충돌한다. 협회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을 먹되 부족하면 보충제를 섭취하라고 권고한다. 명 교수는 이에 대해 “미국 권고안은 오메가3 지방산이 든 음식을 먹는 사람을 분석한 연구를 근거로 했고, 이번 연구는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먹은 사람과 위약을 먹은 사람을 대조한 논문을 분석한 것이어서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는 국내 건기식 5위다. 판매액이 2012년 499억원에서 지난해 7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 측은 “연구 결과와 근거를 먼저 검토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임경숙(대한영양사협회 회장) 수원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오메가3 지방산의 EPA 성분은 중성지방 개선뿐만 아니라 혈관벽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LDL 콜레스테롤이 혈전으로 악화하는 걸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반박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