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개통 인천 ‘제3연륙교’ 4000원 내고 이용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인천 영종도와 육지를 잇는 세 번째 다리인 제3연륙교 공사가 확정됐다. 통행료는 얼마나 될까. 현재 영종대교는 6600원(북인천IC 이용 시 3200원·소형기준), 인천대교는 5500원이다.

기존 영종·인천대교 손실보전 위해 #시, 무료 도로 추진서 유료로 전환 #주민은 1000원 … 향후 무료 가능성

제3연륙교

제3연륙교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5년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중앙일보 11월 24일 보도)의 통행료는 영종·청라 주민 1000원, 일반시민 4000원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제3연륙교는 인천 중구 중산동에서 청라국제도시까지 4.66km로 왕복 6차로다. 2018~2019년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0년 착공, 2025년 상반기 정식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사업비는 5000억원이다.

제3연륙교에 통행료를 부과하기로 한 것은 기존에 설치된 두 교량(영종·인천대교)의 손실보전금 때문이다. 2006년 제3연륙교 추진계획 당시 두 교량의 손실보전금은 1조원에 달했다. 국토교통부와 인천시는 이 손실보전금 부담 비율 합의를 못해 착공이 11년째 미뤄지기도 했다.

손실보전금은 민간투자 사업으로 건설된 교량의 경우 신설노선 때문에 개통 당해연도 통행량이 전년도 통행량의 70% 이하로 떨어졌을때 70% 이하 부분에 대해 보전해 주는 것이다. 제3연륙교가 개통돼 영종대교의 통행량이 100대에서 66대로 줄었을 때 30대는 경미한 변화로 간주해 자체손실로 보고, 4대 분에 대해서만 보전해 주는 식이다. 또 손실보전금은 민간이 운영하는 기간동안 주는 것으로 영종대교는 2030년, 인천대교는 2039년까지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가 제3연륙교 개통 카드를 꺼내 든 이유는 손실보전금이 당초보다 낮은 5900억원이 나왔기 때문이다. 전문기관에 의뢰한결과 제3연륙교 개통시기 지연에 따른 보전기간 감소와 두 교량의 통행량이 증가한 것이다. 통행료 만으로도 개통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영종·청라 주민 1000원, 일반시민 4000원이 책정된 이유다. 시 관계자는 “제3연륙교 개통에 따른 손실보전금과 국토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금액이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경우 통행료는 더 낮아질 것이고 특히 영종·청라 주민의 경우 무료화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인천=임명수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