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LG전자 대표, 98개 협력사에 '스마트팩토리 전환' 강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성진 LG전자 대표이사(왼쪽 여섯번째)는 24일 창원R&D센터에서 열린 '2017년 LG전자 협력회 워크숍'에서 "지능형 자율 공장을 모든 제조 부문에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행사에 참석한 한주우 LG전자 글로벌생산부문장(왼쪽 여덟번째), 이시용 구매센터장(왼쪽 세번째) 등 LG전자 경영진과 주요 협력사 대표들이 손을 맞잡은 모습. [사진 LG전자]

조성진 LG전자 대표이사(왼쪽 여섯번째)는 24일 창원R&D센터에서 열린 '2017년 LG전자 협력회 워크숍'에서 "지능형 자율 공장을 모든 제조 부문에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행사에 참석한 한주우 LG전자 글로벌생산부문장(왼쪽 여덟번째), 이시용 구매센터장(왼쪽 세번째) 등 LG전자 경영진과 주요 협력사 대표들이 손을 맞잡은 모습. [사진 LG전자]

조성진 LG전자 대표이사(부회장)는 부품 생산을 담당하는 협력사 모두 스마트팩토리로 전환해 제조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 "생산 현장 역량이 4차 산업혁명 시대 경쟁력 좌우" #"덩어리 단위로 부품 생산해 조립하는 '모듈화', 전체 라인에 확대"

조 대표는 지난 24일 LG전자 창원연구개발(R&D)센터에서 열린 '2017년 LG전자 협력회 워크숍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생산 현장 역량이 경쟁의 성패를 좌우한다"며 "협력사를 포함한 모든 제조업 분야에 생산라인 효율화와 지능형 자율 공장 구축 등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대표가 특히 강조한 것은 제품 생산의 모듈화다. 모듈화란 개별 부품을 완제품 몸체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큰 덩어리 단위로 생산해 조립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가령 세탁기의 경우, 협력사들이 모터 구동부와 건조·탈수부를 나눠 제작해 납품하면 LG전자가 이 덩어리를 레고블록처럼 결합해 완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LG전자는 2000년대 말 세탁기 생산에 도입한 이런 방식을 다른 모든 제품 생산에도 적용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김경환 LG전자 팀장은 "모듈화는 부품 설계부터 생산·애프터서비스(AS) 단계까지 모두 적용된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큰 모듈 단위로 고장 수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도 좋아진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또 협력사들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기술 인력을 파견하고, 새로운 부품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무이자·저금리 대출 등으로도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98개 협력사 사장단이 모인 이번 워크숍에선 기술·품질·원가혁신과 모범경영 사례 등 4개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낸 16개 업체를 뽑아 '최우수 협력사'로 선정해 포상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