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기애애했다”더니…中언론은 “사드, 한국 책임있는 태도 촉구”

중앙일보

입력

“시 주석은 사드에 대한 중국 입장을 되풀이하면서 한국이 책임 있는 태도를 취하고 결정을 내리도록 촉구했다.”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회담 직후 “한·중 관계 발전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는 청와대 브리핑이 끝난 지 2시간여 만에 중국 신화통신 영문판 트위터에는 이 같은 내용이 올라왔다.

APEC 정상회의에 참석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APEC 정상회의에 참석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당일 오후 7시 20분께 브리핑에서 “사드 문제와 관련, 10월 31일 공개한 ‘양국 관계 개선 방안에 관한 발표 내용’을 평가하고, 양국이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을 정상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시 주석은 ‘새로운 출발이고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국내 언론은 “화기애애하고 허심탄회한 분위기였다”는 설명에 따라 ‘한·중 관계 복원 공식화’ 등 긍정적인 보도를 내놨지만, 청와대 브리핑에선 공개하지 않았던 정반대 기조의 내용이 중국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기자들의 해명 요구가 잇따랐다.

이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밤 9시 40분께 비보도를 전제로 한 브리핑에서 “신화통신의 보도 내용은 시 주석이 중국의 기존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10월 31일 (한·중 양국의) 사드 공동 발표문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해명에 나섰다.

이 관계자는 “시 주석은 현재 상황에서 양국 간 미래 지향적인 관계 발전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면서 “미래 이야기를 하기 위해 과거 이야기를 정리한 것”이라고도 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