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은행, 北거주 화교에 계좌개설 불허" 대북제재 일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은행들이 대북제재 일환으로 북한 거주 화교들에게도 은행계좌 개설을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연합뉴스]

중국은행들이 대북제재 일환으로 북한 거주 화교들에게도 은행계좌 개설을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연합뉴스]

대북제재의 일환으로 북한 공민의 계좌개설을 금지한 중국은행이 북한 거주 화교들에게도 은행 계좌 개설을 불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는 이날 북한의 한 화교 소식통을 인용해 “비록 북한에 살고 있지만, 엄연히 중국 여권을 가진 중국 공민인에도 중국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해 주지 않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우리는 중국 공민인데도 당국으로부터 한국 사람이나 일본사람 등 외국인만도 못한 대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미 북한을 떠나 중국에 거주하는 화교 중에서 아직 중국 호구를 취득하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 이미 개설된 은행 계좌를 유지해주는 대신 예금 인출액을 하루 3만~5만 위안(505만원~842만원)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은행들이 북한과 연고가 있는 화교의 계좌 개설을 금지하거나 예금 인출을 제약하는 것은 화교들의 계좌가 북한의 자금세탁에 이용되고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대북 소식통은 “중국을 오가는 북한 화교들은 중국 공민이라고 하지만, 항상 북한 당국의 엄격한 통제 속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이들이 북한의 불법 자금을 유통하는 통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을 떠나 중국에 정착한 화교들도 북한과 크고 작은 상거래를 통해 생계를 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들 역시 북한 기관에서 불법 자금의 유통을 도와달라고 하면 거절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런 현실을 간파하고 있는 중국 은행들이 북한 출신 화교에 대한 은행 계좌개설과 예금 인출에 제약을 가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