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다이소에 문구점 '울상'…"92.8%가 매출 하락"

중앙일보

입력

생활용품 유통브랜드 ‘다이소’의 영향으로 전국 문구점 10곳 중 9곳 이상의 매출이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국민의당 이찬열 의원에 따르면,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등 국내 문구 단체 3곳에서 전국 459개 문구점을 대상으로 진행한 ‘다이소 영업점 확장과 문구업 운영실태 현황’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92.8%가 다이소 영향으로 매출이 하락했다고 답했다.

[사진 다이소 인스타그램]

[사진 다이소 인스타그램]

‘매우 하락했다’는 응답이 48.1%로 가장 많았고, 운영 위기 수준이라는 응답도 8.1%에 달했다. 전혀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5%에 불과했다.

특히 응답 업체의 46.6%는 다이소 입점 후 매출 하락 때문에 매장을 계속 운영할지 고민이라고 답했다. 업종을 변경하거나 폐업하겠다는 답도 각각 4.4%와 5.2%였다.

문구점들은 다이소에 대한 대응책으로 ▶카테고리 품목 제한 ▶생활전문매장으로 점포 평수제한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적합업종 지정 ▶문구업종 카드수수료 인하 ▶기업형 점포 시 외곽 개설제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다이소는 골목상권을 침해해 생존을 위협한다는 문구업계의 주장에도 규제의 사각지대 속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영업을 해왔다.

다이소는 지난해 매출 1조5600억원으로 국내 기업형 슈퍼마켓 3위인 GS슈퍼마켓(1조4244억원)보다 많지만 유통산업발전법 규제 대상은 아니다. 최근 공정위가 복합쇼핑몰과 아웃렛 등을 규제하기 위해 개정하겠다고 밝힌 대규모유통업법 적용 대상도 아니다.

문구업계는 “다이소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문구소매업까지 확장해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며 “생활용품 매장임에도 문구를 이렇게 많이 취급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한국문구인연합회·한국문구인유통협동조합 등 문구 단체들은 다이소 확장 등에 힘을 합쳐 대응하기 위해 이날 한국문구인 미래혁신위원회를 발족한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