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NSC 직접 주재…정부 "北미사일 강력규탄…무모한 도발 즉각 멈추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월 21일 청와대 내 국가 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을지훈련 시작일을 맞아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월 21일 청와대 내 국가 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을지훈련 시작일을 맞아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8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정부는 이날 문 대통령 주재로 열린 NSC 전체회의 후 성명을 통해 "북한이 최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에 이어, 또다시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것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일 뿐 아니라 한반도는 물론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매우 심대하고 엄중한 도전으로서,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북한은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는 것이 자신의 안보와 경제발전을 보장하는 진정한 길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무모한 도발을 즉각 멈추고 조속히 비핵화를 위한 대화의 길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성명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하여 우리는 국제사회와의 일치된 공조와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대응역량을 한 층 더 강화시켜 나갈 것"이라면서 "또한 정부는 한 치의 흔들림 없이 국민의 생명과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NSC전체회의를 주재한 것은 지난 7월 4일, 7월 29일, 지난 3일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문 대통령이 지난 5월 1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NSC 상임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것을 포함하면 NSC 참석 자체는 다섯 번째다. 각 회의는 모두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직후 이뤄졌다.

전날 청와대는 정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유엔안보리 결의 2375호 내용 등을 평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검토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상황 전반과 관련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하는 한편, 우리의 대응방안을 점검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 57분쯤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일본 상공을 지나 북태평양 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최대고도는 약 770여km, 비행거리는 약 3700여km로 판단된다고 합참은 전했다.

우리 군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동시에 대통령 승인을 받아 현무-2 탄도미사일을 도발원점인 순안비행장까지의 거리(250km)를 고려해 동해상으로 실사격했다고 합참은 전했다.

한미 군 당국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하고 면밀히 감시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