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중·러 참여 만장일치 높게 평가”…문 대통령, 내주 유엔 총회에서 북핵 평화적 해결 강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와대는 1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제재 결의안 2375호를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데 대해 “높게 평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결의안은 북한 핵실험에 대해 이전 결의안 2371호보다 더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국제사회의 공감과 전폭적 지지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북한의 국제 평화에 대한 무모한 도전은 국제사회의 더 강력한 제재를 초래할 뿐이라는 사실을 북한 스스로 자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더 이상 국제사회의 단호한 의지를 시험하려 들지 말고,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압박에서 헤어 나올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완전하고, 불가역적이며, 검증 가능한 핵폐기를 위한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는 길뿐”이라고 강조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

대북 원유 공급을 전면 중단하는 내용을 담은 초안에 비해 제재안이 후퇴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원안에서 후퇴했다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다”며 “워낙 강력한 결의안이 담겨 있고, 이 자체를 높게 평가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만장일치로 동의한 것에 대해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번 결의안의 원안과 비교하기보다는 북한에 대한 원유ㆍ정유 제품 공급 제한을 처음으로 설정하는 등 이전 결의안인 2371호에 비해 강화된 측면에 더 주목해달라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참석해 북한의 잇따른 도발을 규탄하는 동시에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필요성을 국제사회에 호소할 예정이다.

새 대북 제재안이 통과되자 우리 정부도 즉시 “환영하고 지지한다”는 성명을 냈다. 정부는 “유엔 안보리는 이번 결의를 통해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중대한 도전인 북한의 무모하고 무책임한 핵개발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재차 표명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북한은 오직 비핵화의 결단만이 자신의 안보와 경제 발전을 보장받는 길임을 깨닫고,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가 제시하는 비핵화와 평화의 길로 조속히 나와야 할 것”이라고 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