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배후에 이란?…英 "北 독자 기술로는 한계…정부 차원 조사"

중앙일보

입력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를 현지지도했다고 3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김 위원장 뒤에 세워둔 안내판에 북한의 ICBM급 장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화성-14형'의 '핵탄두(수소탄)'이라고 적혀있다. [사진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를 현지지도했다고 3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김 위원장 뒤에 세워둔 안내판에 북한의 ICBM급 장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화성-14형'의 '핵탄두(수소탄)'이라고 적혀있다. [사진 연합뉴스]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배후에 이란이 있을 수 있다고 영국 매체가 전했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영국 외무부 관리를 인용해 외무부가 "과거와 현재의 핵보유국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핵미사일 추진을 도왔는지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북한 핵무기 개발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는 첫 번째 나라는 이란이다. 러시아 역시 가능성이 높은 나라 중 한 곳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은 지난주 하원에서 북핵 위기에 관한 질문을 받으며 이 같은 외무부의 방침을 시사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당시 존슨 장관은 "이 나라(북한)가 정확히 어떻게 기술적인 능력을 도약시켰는지를 조사 중"이라며 "과거와 현재 일부 핵보유국이 우연히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배후에 이란 등 과거 혹은 현재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의 지원이 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 텔레그래프 인터넷판 캡쳐]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배후에 이란 등 과거 혹은 현재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의 지원이 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 텔레그래프 인터넷판 캡쳐]

북한이 주장하는 것처럼 독자적 기술로 진전을 이뤘다는 주장은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영국 고위 관리들의 의견이다.

영국의 한 관리는 "북한 과학자는 어느 정도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지만 분명히 그들은 (핵무기 개발을) 완전한 진공 상태에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외부 세력의 기술적 지원 없이 북한이 지금의 핵무기 기술 수준에 도달하는 것은 어렵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텔레그래프는 북한과 이들을 도운 나라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면 더욱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대북제재를 취할 수 있으며 새로운 외교적 방안이 열릴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