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반대’, 부산은 ‘찬성’ 신고리 5·6호기 건설 찬반 팽팽…25일 전국 설문 시작, 어떤 방법으로 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난 28일 울산 신고리 5·6호기 건설 현장을 방문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울산역 회의실에서 건설에 반대하는‘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를 만나 조사방법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최은경 기자

지난 28일 울산 신고리 5·6호기 건설 현장을 방문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울산역 회의실에서 건설에 반대하는‘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를 만나 조사방법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최은경 기자

‘찬성 44.3% vs 반대 43.9%’.
지난 30일 부산시의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부산 시민 1017명을 대상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해 전화 설문한 결과를 발표했다. 찬성과 반대 차가 0.4%로 찬반 의견이 팽팽하다. 11.8%는 모른다고 응답하거나 답하지 않았다. 건설 반대 비율은 20·30·40대에서 각각 52%, 64.3%, 58.9%로 높게 나왔고 50·60대는 35.6%, 22.1%로 낮았다.

부산에선 찬성이 0.3%p, 울산에선 반대가 3.6%p 높아 #두 지역 20·30·40대는 건설 반대, 50·60대는 건설 찬성 #9월 10일까지 전국 2만 명 설문으로 시민참여단 추출 #시민단체 “정보 없는 단답 질문으로 여론 알겠나” 우려

건설을 지속해야 하는 이유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가 34.9%로 가장 많았고 건설 중단 이유로는 ‘사고 발생 시 복구 불가능한 규모의 피해 발생(46.1%)’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같은 주제로 울산에서 한 설문에서는 반대 비율이 3.6%포인트 높았다. 바른정당이 리서치DNA에 의뢰, 울산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6일 발표한 결과 45.1%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찬성, 48.7%가 반대했다. 6.2%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부산과 마찬가지로 20·30·40대는 반대 비율이 높았고 50·60대는 찬성 비율이 높았다.

지난 25일에는 신고리 5·6호기 관련 지역 주민뿐 아니라 전국 국민 2만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이 시작됐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한국리서치컨소시엄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국민에게 지역·성별·연령 등 인적사항,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인지 여부, 건설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고 있다. 공론화위는 9월 13일 시민참여단 참여에 동의한 응답자 가운데 지역·성별·연령, 찬반 비율 등을 고려해 500명을 시민참여단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공론화위는 지난 28일 울산 방문 시 건설에 반대하는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를 만나 조사방법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운동본부 측은 “2만 명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더 많은 정보를 노출해 국민의 이해도를 높였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공론화위는 “이번 조사는 정보 없이 직관적인 의견을 묻는 것”이라며 “2차 조사에서 심층학습에 들어간다”고 답했다. 찬반 외에 기타 의견을 어떻게 반영할지 묻는 질문에는 “고민중”이라고 답했다.

운동본부는 ‘댓글부대’ 등의 여론 조작 우려가 있다는 것과 조사 대상에서 10대가 빠진 점을 지적했다. 찬반 양쪽에서 제출한 자료집 내용이 사실인지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이에 김지형 공론화위원장은 “대국민·지역·세대별·TV 토론회에서 다양한 의견을 들어 중립적으로 공론화하겠다”고 말했다. 운동본부 측은 원전에 대한 체감도를 고려해 시민참여단 500명 중 최소 100명은 지역 주민으로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공론화위는 지역 주민의 상황이 시민참여단에게 잘 전달할 수 있게 하겠다는 답만 내놨다.

1차 조사는 9월 10일까지 진행된다. 공론화위는 그 결과를 10월 16일 시민참여단의 최종 설문이 끝난 뒤에 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신뢰성에 대한 잡음이 일면 도중에 공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은경 기자 chin1ch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