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연인 박근혜로 돌려보내자"…나경원도 "구체제와 단절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정치인 박근혜’에서 ‘자연인 박근혜’로 돌려보내자”며 또다시 박 전 대통령 출당론에 불을 붙였다.
홍 대표는 27일 오후 부산에서 연 토크 콘서트에서 “박근혜 출당 시킨다고 하니까 속상하겠지만 오죽하면 그렇게라도 하겠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7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문화의광장 토크콘서트에서 시민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7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문화의광장 토크콘서트에서 시민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지방선거를 앞둔 ‘현실론’도 호소했다. 홍 대표는 “(문재인 정부가) 우리 당과 함께 엮어가지고 지방선거까지 박근혜 대통령을 압박을 가해야지 효과가 있을 거라고 볼 것”이라며 “한국당이 궤멸돼버리면 박근혜가 살아날 길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재판이니까 자연인으로 돌아가면 재판에도 더 유리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내 친박계를 겨냥한 듯 “일부에서는 아직도 박근혜 팔아서 정치생명을 유지하려는 분들이 많다”며 “정치인으로 있으면 재판이 점점 불리해지는데 왜 그걸 자꾸 잡고 정치에 이용하려는 세력에 끌려다니면서 그렇게 하느냐”라고도 말했다.

홍준표, 부산 토크콘서트에서 박근혜 출당 또 제기 #"정치인 박근혜를 자연인 박근혜로 돌려보내자 #오죽하면 이러겠나. 한국당 궤멸되면 박근혜도 못살아" #나경원 "구체제와 단절하고 바른정당과 합치자" #이종구 "친박 8인 청산하면 통합 가능"

한편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비박(非朴) 정치인들도 통합 목소리를 연이어 내놓고 있다.
나경원 한국당 의원은 지난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구(舊)체제와의 단절을 진행하고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우파 가치는 한국당의 전유물이 아니다“며 ”당의 문을 활짝 열고 바른정당과의 통합 추진을 포함해 우파 가치에 동참하는 모든 이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사진 나 의원 페이스북 캡처]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사진 나 의원 페이스북 캡처]

그는 또 “홍준표 대표가 언급한 것처럼 구체제와의 단절은 혁신의 첫 걸음인 반성”이라며 “당내 여러가지 시각과 복잡한 사정이 있지만 국민의 시각으로 속도감 있게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실수만을 기다리거나 반사 이익만 얻으려 해선 절대로 떠나간 국민의 마음이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종구 바른정당 의원도 지난 25일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친박 인적청산을 조건으로 “한국당과의 통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지난 대선과정에서 13명의 바른정당 의원들이 한국당으로 넘어갈 때 홍준표 후보는 친박 청산을 제대로 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밝혔다. 청산 범위에 대해선 “박근혜 전 대통령과 소위 ‘8적’이라고 불리는 8명 의원의 출당을 조건으로 제시했었다”며 “이 조건만 충족된다면 합당까지도 다시 논의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종구 바른정당 의원 [중앙포토]

이종구 바른정당 의원 [중앙포토]

하지만 이같은 움직임이 당장 실현되기에는 넘아야 할 산이 너무 많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바른정당에서는 이혜훈 대표와 김세연 정책위원장을 비롯, 대선 후보였던 유승민 의원 등이 ‘독자생존’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하태경 최고위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진정한 보수 통합의 출발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이 아니라 한국당 해산“이라며 ”한국당은 보수 정당이 아니라 합리적 보수, 웰빙 보수, 극우가 뒤범벅된 괴물 정당일 뿐”이라고 할 정도로 반감이 만만찮다.

한국당 내에서도 친박 청산의 어려움을 들고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지난 19ㆍ20대 공천을 친박계가 주도했고, 이에 반대한 세력은 바른정당으로 갔는데 한국당 내에서 친박 청산이 제대로 될 수 있겠냐”며 “지금은 홍 대표의 말을 듣고만 있지만 실제로 청산에 돌입하면 극심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19ㆍ20대에 들어온 초ㆍ재선 상당수는 박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에 내심 동조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