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블록체인, 제조업에도 첫 적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터넷 금융거래에 주로 사용되는 '블록체인'이 제조업에도 처음 적용된다.

삼성SDI의 전자계약시스템에 첫 적용키로 #해외 파트너사들과 부품 공급 등 계약 때 #계약서 원본 입증 쉬워지고 거래 신뢰도 높아져

삼성SDS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Nexledger)를 삼성SDI의 전자계약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에서 참여자들 간의 거래를 서로 검증하고, 거래 내역을 암호화해 분산 보관함으로써 투명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해킹 우려가 없고 보안비용을 크게 낮춰주는 장점이 있어 금융거래와 물류기업 간 거래에 사용돼왔다.

삼성SDI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이유는 전자계약시스템의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서다. 국적이 서로 다른 기업 간에 또는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외국 파트너사들과 부품 계약을 할 때 대부분 전자계약서를 통해 거래가 이뤄진다. 각 기업은 이 계약서를 출력해 보관하지만 위조가 없는 원본임을 누구도 입증하기 어렵다. 공인인증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

삼성SDS의 블록체인 기술은 파트너사들이 공동으로 계약 과정에 참여하고 계약서를 함께 나눠 갖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크게 높인 기술이다.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이 완료되면 삼성SDI는 나라마다 상이한 전자계약 관련 법과 제도를 반영해 신뢰도 높은 계약관리 체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각종 계약 문서의 위·변조를 막고 진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계약자의 부인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계약 문서를 암호화한 뒤 투명한 관리도 가능해진다.

삼성SDS는 넥스레저를 올해 초 금융사에 처음으로 상용화한 데 이어 지난 5월 말에는 관세청·해양수산부·한국해양수산개발원·부산항만공사·현대상선 등이 참여한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에도 적용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SDS 금융사업팀장 송광우 상무는 "지난 6월 유럽 최대 글로벌 금융 컨퍼런스 'Money 20/20 Europe' 행사에서 블록체인과 관련해 기조 연설에 나설 만큼 삼성SDS의 기술력은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며 "연내에 중국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후 다른 국가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태희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