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민주당 조직강화특위 인선 명단 일부 드러나…박찬대ㆍ이재정ㆍ박혜자 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형석 최고위원, 추 대표, 우원식 원내대표. 박종근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형석 최고위원, 추 대표, 우원식 원내대표. 박종근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조직 정비를 위해 곧 구성할 조직강화특위(조강특위)의 인선안 일부가 공개됐다. 조강특위의 활동은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과 맞물려 있어 인선안 면면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려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9일 통화에서 “현재까지 13명의 조강특위 위원 인선을 마쳤다”며 "이 중에는 이춘석 사무총장, 임종성 조직사무부총장, 당 윤리위원 등 당연직 위원 3명과 원내외 인사 10명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인천 연수갑 지역위원장인 박찬대 의원, 여성ㆍ청년 배려 기준에 부합하는 이재정 의원, 광주서갑 지역위원장인 박혜자 전 의원이 명단에 올랐다”고 전했다. 또 강원과 충청에서 각각 지역위원장으로 있는 K위원장(원외), C의원(원내)도 포함됐다고 한다.
 다른 당 관계자는 “지역별 안배, 여성ㆍ청년 배려, 지방선거 출마자 배제 등 원칙에 맞는 현역 의원 6~7명, 원외 지역위원장 6~7명 정도가 최종 인선안으로 올라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인선안은 추 대표 비서실에만 전달됐을 뿐 추 대표 본인은 못 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인선 당사자에게도 통보하지 않은 상태이고, 앞으로 최고위원회ㆍ당무위원회 의결과정에서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강특위 인선안에 대해 비주류 한 초선 의원은 “현 지도부와 가깝거나 추 대표가 쉽게 주무를 수 있을 인사들”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비주류 초선 의원은 “추 대표에게 잘 보여야 할 사람들이 몇명 들어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조강특위 구성 논의가 본격화하면 추 대표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와 비주류 간 당권 다툼이 불붙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추 대표 측 한 관계자는 “추 대표는 조강특위 구성을 지시하거나 논의한 적 없다”며 “다만 정기국회 개회 전인 8월 내 조강특위 구성은 마쳐야 한다”고 말했다.
 조강특위가 청와대로 들어가면서 당적을 내놓고 사퇴한 지역위원장들에 대한 사고 지역위 판정 문제도 논란 거리다.
 민주당은 당헌ㆍ당규상 사고 지역위원회 지정ㆍ정비를 조강특위가 맡게 돼 있는데 현재는 구성돼 있지 않아 최고위원회가 판정작업을 해왔다. 당 최고위가 청와대 비서관 업무 수행을 위해 탈당한 일부 인사들의 지역위원회를 사고 지역위로 지정해오는 과정에서 갈등을 빚어왔었다.
 한 재선 의원은 “통상 지역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해왔는데 추 대표가 굳이 사고 판정을 하는 건 지방선거 공천 영향력 확대를 위해서 아닌가라는 생각을 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로 들어가면서 자신의 지역위원회가 사고 지역위로 지정된 A 전 의원 측은 “사고 지역위 정비는 추 대표가 입맛에 맞는 사람들을 지역위원장으로 앉히려 한다고 보는 게 합리적 해석”이라고 말했다.
논란이 일자 추 대표는 지난 7일 SNS에 “당규에 따라 지역위원장 궐위시 최고위에 상정해 사고 위원회로 의결한 것”이라며 “당 대표 개인의 당권 장악이라는 왜곡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가 휴가 복귀 직후 ‘당 체질 강화, 당헌당규 보완’을 내걸고 출범하겠다고 밝힌 정치발전위원회(위원장 최재성 전 의원)를 놓고도 일각에선 “공천 룰을 손대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정치발전위원장을 맡은 최 전 의원은 “당 혁신은 (공천) 룰의 문제가 아니다. 그런 우려를 보면서 진짜 혁신을 해야겠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