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키운 한국 부품, 사드 파문에도 중국서 건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은 세계 239개 경제권과 교역한다. 세계의 공장답게 가장 많은 중간재를 수입해 가장 많은 제품을 수출한다. 소득이 늘면서 내수도 날로 커지고 있다. ‘ 메이드 인 코리아’는 이 각축장에서 2013년부터 1위를 지키고 있다.

반도체 등 중간재 중심 수출 호조 #수입시장 9.4% 점유, 5년 연속 1위 #2위 일본과 격차는 0.5%p로 줄어

7일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은 9.4%의 비중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보복으로 한·중 교역에 타격이 생겼지만, 반도체 등 중간재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올 상반기 대중 반도체 수출은 47.5%나 껑충 뛰었다. 세계 경제 회복으로 전자제품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다. 광학기기부품과 개별소자 반도체 판매도 30% 증가했다. 석유화학제품도 19.2% 늘었다. 다만 중국에 수출하는 제품 중 6, 7번째로 금액이 많은 자동차부품과 무선통신기기부품은 각각 38.3%, 23.2% 감소했다. 한국이 주춤하는 사이 수출 경합관계인 일본은 자동차부품 및 기계류 수출을 50% 이상 늘렸다.

이 영향으로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일 간 격차는 지난해 0.8%포인트에서 올 상반기 0.5%포인트로 줄었다. 일본은 2013년 중국과의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분쟁으로 대중 수출이 급감하며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준 뒤로 줄곧 2위에 머물고 있다. 대중 수출 3~5위는 미국 8.7%, 대만 7.8%, 호주 5.6% 등 순이다.

올 하반기에도 중국 수출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하반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6.6~6.7%로 상반기보다는 다소 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앞으로 수출 동향을 가늠할 수 있는 수출선도지수가 최근 6개월 연속 상승해서다. 올 상반기 중국의 성장률은 6.9%, 수출과 수입 증가율은 각각 8.5%, 18.9%였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 심윤섭 차장은 “하반기도 반도체 호황과 유가 상승으로 수출 호조가 예상되나 사드 국면의 장기화와 중국산 제품의 경쟁력 상승 등 중장기 전망은 불투명하다”며 “중국정부의 경제정책 변화와 엄격한 법규 적용, 시장 선진화,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 등 시장 상황의 변화에 맞춰 한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