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지원' 화해·치유 재단 김태현 이사장 사퇴

중앙일보

입력

한·일 간 ‘12·28 위안부 합의’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출범한 ‘화해·치유 재단’의 김태현 이사장이 퇴진했다.

12·28 합의 따라 지난해 7월 설립 #새 정부 합의 부정적 기류 영향도 #46명 중 37명에 1억씩 지급...목표 달성

24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 19일 이사회를 열고 김 이사장의 사퇴를 의결했다. 다른 이사진 9명도 사퇴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지난해 7월28일 재단이 출범했으니 약 1년 만이다.

김태현 화해·치유재단 이사장 [중앙포토]

김태현 화해·치유재단 이사장 [중앙포토]

위안부 합의에서 일본 측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10억 엔(약 107억원)을 갹출, 한국이 설립하는 재단에 출연하기로 했다. 지난해 8월 일본 측은 약속대로 10억엔을 냈다. 화해·치유 재단은 이 기금으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46명·위안부 합의 당시 기준)와 사망자(199명)의 유족들에게 각각 1억원과 2000만원을 현금으로 지원해 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위안부 합의 자체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재단의 존립 근거도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외교가에선 나왔다. 김 이사장의 사퇴에는 이 같은 정부 측의 입장 변화와 재단이 지원금 지급이라는 본래 목적을 상당 부분 달성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9일 현재 재단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은 생존 피해자는 37명이다.

재단 관계자는 “위안부 합의에 반대해 수령을 거부하는 분들을 제외하고 재단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지원금 지급은 다 한 상황”이라며 “향후 재단의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정부가 방침을 정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재단의 운명은 외교부가 곧 발족한 위안부 합의 조사 태스크포스(TF)의 결과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외교부는 강경화 장관이 직접 관장하는 TF를 통해 합의 도출 과정 등을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 TF에는 외교부 내외 인사들이 모두 참여하며, 위원장으로는 명망 있는 외부 여성 인사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