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잡음 커질 때 큰 이슈 던지는 청와대…오비이락일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허진 기자

허진 기자

우연의 일치일까. 청와대가 인사 논란의 소용돌이에 휩쓸릴 때마다 선제적으로 큰 이슈를 던지고 있다.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와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커지던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6ㆍ15 공동선언 17주년 기념식 축사에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남북 대화에 대한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 중단’이란 조건을 걸긴 했지만, 북한의 도발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상당히 진전된 대북 유화 메시지를 던졌다.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이라는 표현은 당초 원고 초안에는 없었지만 문 대통령이 직접 넣었다고 한다.

상당수 언론은 안 후보자의 ‘몰래 혼인신고’ 의혹과 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 문제뿐 아니라 문 대통령의 이 발언을 비중있게 다뤘다.

허진 기자

허진 기자

지난달 30일 청와대가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해 국방부의 ‘보고 누락’을 공개적으로 문제삼을 때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낙연 국무총리에 이어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의 위장전입 문제가 불거지고 추가 의혹도 잇따르면서 문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병역 면탈 ▶부동산 투기 ▶세금 탈루 ▶위장전입 ▶논문 표절 등 이른바 ‘공직 배제 5대 원칙’을 어겼다는 비판이 쏟아지던 때였다.
이 문제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달 26일 대국민 사과를 했고,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야당 의원들과 국민들께 양해를 당부드린다”고 했다.

상당수 언론은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밝힌 사드 ‘보고 누락’ 사건을 며칠간 집중 보도했다. 당시 야권에선 “언론과 국민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김유정 국민의당 대변인)는 반응이 나왔다.

문재인 정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활동 없이 임기를 바로 시작했다. 짧은 시간에 많은 이슈가 쏟아져 나오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청와대에 부정적인 이슈가 커질때마다 청와대가 주도하는 새 이슈가 부각되는 걸 두고 야당은 “단순한 오비이락은 아닐 것"이란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