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위기, 삶의 약한 고리부터 덮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앙일보 디지털 스페셜 ‘거제, 이대로 추락할까’ 오늘 공개

먹구름이 내려앉은 거제도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건조 중인 LNG선의 모습이 보인다. 미리 받아 놓은 일감이 아직 남아 있지만 신규 수주가 부진해 미래는 불투명하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먹구름이 내려앉은 거제도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건조 중인 LNG선의 모습이 보인다. 미리 받아 놓은 일감이 아직 남아 있지만 신규 수주가 부진해 미래는 불투명하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경남 거제시에 사는 최순(39)씨는 지난해 초 대우조선해양을 퇴직했다. 경리사원으로 일한 지 21년 만이다. 회사는 2015년 5조원대 부실이 드러나면서 대규모 희망퇴직을 받았다. 최씨 같은 여성 경리직원 대부분이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떠났다. 대우조선해양의 여직원은 1년 새 606명에서 381명으로 줄었다.

12년치 실업급여 1만5000건 분석 #여성·중장년층에 명퇴 등 피해 집중

조선업 불황으로 거제가 몸살을 앓고 있다. 거제는 취업 연령 인구의 절반이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및 협력사에서 일하는 조선업의 도시다. 국내총생산의 48.9%를 제조업이 차지하는 ‘제조업의 나라’ 대한민국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중앙일보는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거제의 12년치 실업급여 수령 데이터 1만5000여 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조선업 위기의 피해가 최씨 같은 ‘약한 고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만 여성 2421명이 실업급여를 받았다. 전체 수령자의 37%다. 거제가 대표적인 ‘남초 산업’ 조선업의 도시란 점을 고려하면 대단히 높은 비율이다.

정년을 1~2년 남겨둔 50대 후반 중장년층도 위기에 취약했다. 전체 인구 비중이 각각 1%에 불과한 60세, 58세, 59세가 각각 실업급여 수령 비율 1~3위(각각 5.7%, 4.5%, 4.4%)를 기록했다.

제조업 위기로 삶의 터전에서 밀려난 이들의 자세한 이야기는 15일 공개되는 디지털 스페셜 ‘거제, 이대로 추락할까-밀려난 사람들’(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18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선업 호황 때 낀 부동산 버블 문제와 ‘위기의 진앙’ 대우조선해양 이야기를 다룬 디지털 스페셜 2편 ‘거품 꺼진 도시’는 19일 볼 수 있다.

정선언 기자 jung.sune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