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출자한 화력발전소에 급브레이크 건 구미시,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령화력발전소

보령화력발전소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미세먼지 감축 대책을 발표하면서 노후 화력발전소의 일시 가동 중단을 지시한 가운데, 경북 구미시가 대기업이 출자한 업체의 신규 화력발전소 건립 사업 추진에 공개 반대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구미시는 28일 성명서를 통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GS E&R의 출자회사인 구미그린에너지의 화력발전소 건립을 저지하기 위한 범시민 반대운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대기업 출자회사가 구미에 화력발전소 건립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에 바이오매스 발전전기사업 신청 # #문재인 대통령의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조치에 이어 #구미시,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며 성명까지 발표

기초 자치단체가 공개적으로 반대운동 선언까지 하게 된 데는 사연이 있다.
구미1공단에서 열병합발전소를 운영 중인 구미그린에너지는 지난달 초 산업통상자원부에 바이오매스 발전 전기사업 허가를 신청했다.

바이오매스는 폐목재(우드펠렛·우드칩)를 불에 태워 스팀을 만들고, 그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폐목재를 태울 화력발전소 시설이 필요하다. 구미시에 따르면 산업부는 자체 심의위원회에 심사를 맡겼다. 이 안건은 지난 26일 심의이를 통과했다.

심의위를 거친 이 안건에 대해 산업부의 최종 허가는 이달 말 전후 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달 중순 구미시는 산업부에 반대 입장을 전달했으나 묵살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구미시 관계자는 "지난달 중순 산업부에서 사업 추진에 대해 의견을 물어와 (구미시가) 강하게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는데도 심의위에서 그대로 통과됐다"며 "화력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43만명이나 되는 구미시민의 생명권과 생활권을 위협할가 뻔해 발전소 건립을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구미시가 강하게 반대 입장을 공개 천명한 상태라 산업부가 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허가하더라도 실제로 사업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산업부의 최종 허가를 얻은 뒤 구미시에 건축허가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별도로 신청해야 하는데 구미시가 입장을 번복하지 않는 이상 반대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구미=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